■ 광주 지하상가, 亞 문화전당 연계개발 어떻게 하나
쇼핑ㆍ문화ㆍ오락…'복합 엔터테인먼트몰'로
정보와 문화 접목 광주상권 활성화
특화시설로 '24시간 활력있는 공간'
亞전당과 연계 시너지 효과 극대화
2008년 08월 19일(화) 00:00
● 지하상가 활용방안 보고서 결과

지하상가 개발의 목표는 '쇼핑ㆍ문화ㆍ오락ㆍ휴게공간을 동시에 제공하는 복합엔터테인먼트몰'에 있다.

아시아문화전당과 연계해 하나의 문화지구 형성으로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문화예술이 함께 하는 차별화된 쇼핑공간, 24시간 깨어있는 4계절 복합엔터테인먼트몰을 지향하고 있다.

개발 방향은 △전통적 소매 기능과 엔터테인먼트 동일 공간에서 실현 △문화와 예술관련 핵심 시설의 도입으로 체류형ㆍ목적형 공간 조성 △국제적 수준의 복합엔터테인먼트 조성을 위한 특화시설과 테마 도입 △지하공간의 환경적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공간 등이다.

이 중 복합엔터테인먼트 조성과 관련, 국제적 수준의 문화전당 방문객의 이용 행태를 반영한 계획으로 질적인 측면에서 이용자의 만족도 제고와 지역사회의 경제적 편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타 지역 지하상가 사례를 통해 검토한 결과는 쇼핑+문화+오락+휴게공간을 제공하는 복합엔터테인먼트몰이 적합하다는 것.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민자사업대상지 간의 연계 기능과 시설ㆍ프로그램 리모델링으로 지역상권을 활성화하고, 상업기능은 물론 다양한 정보와 문화기능을 접목시킨 문화교류의 장과 24시간 깨어있는 공간으로 개발할 때 효과가 높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개발 전략은 도심위락시설 공간과 문화체험 예술공간, 24시간 활력있는 도심창출, 도심상권 활성화 등으로 압축된다.

'위락시설 공간'으로는 게임클럽ㆍ도심형 테마파크ㆍ아쿠아리움ㆍ스포츠센터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문화예술체험 공간' 중 생산시설로는 아시아문화센터ㆍ아시아음악클럽ㆍ문화이벤트 광장ㆍ박물관ㆍ전시관 등이, 소비시설로는 아시아아트옥션센터ㆍ아시아문화상품점ㆍ멀티플랙스 등이 권장된다.

'24시간 활력있는 도심창출'을 위한 상업시설로는 전문상가ㆍ전문식당가ㆍ패밀리 레스토랑ㆍ대형서점이, 공공시설로는 광장ㆍ지하정원ㆍ분수와 벤치 등이, 도심 상권 활성화를 위한 상업시설로는 전자ㆍ귀금속ㆍ조명 등의 판매시설이 가능하다는 진단이다.

보고서는 이에 따른 최종 도입 시설로 문화시설의 관람집회시설과 전시시설, 상업시설의 판매시설과 위락시설, 공공시설의 근린공공시설 등을 선정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금남지하상가가 시로 환수됨에 따라 문광부에서 이를 적극 개발하기 위해 검토 중이며, 시도 함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면서 "문화의 전당과 연계해 개발 땐 시너지 효과가 매우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 금남지하상가 건설서 환수까지

금남지하상가는 기부채납을 조건으로 금광기업(주)이 공사를 맡아 광주 동구 1가~3가에 걸쳐 진행됐다. 공사기간은 지난 1988년 1월부터 1991년 9월30일까지 진행됐으며, 총 길이는 530m, 폭은 17.2m에 달한다. 지하상가의 면적은 지하보도 8236㎡를 비롯 상가 8236㎡, 주차장 5022㎡, 부대시설 4206㎡ 등 총 2만5700㎡이다.

금광기업의 무상운영 기간은 20년으로, 1공구 상가 224동(3783㎡)의 경우 1989년 9월1일부터 2009년 8월31일까지, 지하주차장 1동(5022㎡)을 포함한 2공구 상가 157동(4453㎡)은 1991년 11월29일부터 2011년 11월28일까지이다.

금광기업의 운영기간이 끝나면 곧바로 시로 운영권이 이전된다.

금남지하상가가 처음 개장돼 운영될 당시 금남로와 충장로는 광주시의 중심으로 수많은 시민들의 발길을 끌었으나 도시가 점차 확장되고 전남도청마저 무안으로 이전하면서 점차 쇠락의 길을 걸어왔다.

실제로 지난 2006 말 기준 광주 자치구별 인구수는 동구 11만명, 서구 31만명, 남구 21만명, 북구 46만명, 광산구 31만명으로 동구가 가장 적다.

한편 221개 점포가 운영되고 있는 충금지하상가는 지난 2000년 7월부터 도시공사에서 관리 중이다.

김만선 기자 mskim@jnilbo.com

금남로 지하상가 도입 가능 시설

기 능

도입기능

세부시설

문화시설

관람집회시설

아시아문화센터, 아시아음악클럽, 문화이벤트 광장

전시시설

전시관

상업시설

판매시설

아시아문화 Retail Shop, 전문상가, 쇼핑몰, 대형서점

위락시설

게임클럽, 전문식당가, 패밀리 레스토랑

공공시설

근린공공시설

광장, 정원, 분수와 벤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