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亞 다문화시민사회 조성방안' 내용은
'이해→존중→창조' 3단계 지원책 필요
생활 어려움 한국말-빈곤-자녀양육 順
배우자ㆍ시부모에 가장 많은 도움 받아
외국인 가장 하고싶은 것은 관광ㆍ여행
생활 어려움 한국말-빈곤-자녀양육 順
배우자ㆍ시부모에 가장 많은 도움 받아
외국인 가장 하고싶은 것은 관광ㆍ여행
2008년 11월 13일(목) 00:00 |
![]() |
이에 따라 교육센터는 창조적다문화시민사회 조성을 위해 적응과 이해→존중→창조의 3단계 정책을 제안했다.
● 여가생활 및 문화생활
여가활동을 묻는 질문에 외국인근로자와 국제결혼 이주여성, 유학생 모두 가족 외식을 가장 자주 하고 있는 반면 문화활동을 가장 적게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희망하는 여가는 근로자(42.2%), 이주여성(65.0%), 유학생(68.4%) 모두 관광ㆍ여행을 가장 많이 선호했다.
본국과 한국의 가장 큰 문화적 차이를 묻는 질문에는 근로자가 의식주(16.7%), 일반상식(16.7%), 종교생활(7.1%) 순을, 이주여성은 시부모관계(20.3%), 의식주(17.2%), 집안일분담(10.4%)을 지적했다. 유학생은 의식주(29.6%)에 이어 종교생활(19.3%), 행동양식(10.4%), 법제도(9.6%)를 꼽았다.
문화적 편견차별 경험을 묻는 질문에는 외국인근로자 55.9%가 긍정으로 답했고, '받지 않는다'는 답은 15.5%에 그쳤다. 이주여성은 66.6%가, 유학생은 77.7%가 각각 차별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한국 생활의 어려움은 한국말(39.1%), 경제빈곤(10.3%), 자녀양육교육(8.5%), 문화차이(8.5%) 등의 순을 보였다.
● 문화적응방법과 문화교육
응답자의 문화적응에 가장 큰 도움을 주는 가족은 무려 74.9%가 '배우자'라고 응답해 시부모(13.1%), 친정식구(8.0%) 등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다.
이웃 가운데에는 한국친구(45.5%), 본국친구(37.0%)를, 단체에서는 센터선생(46.8%), 종교(34.8%), 지원센터(16.5%) 순이었다.
한국문화를 배우고 싶은 이유로는 의사소통향상(36.5%), 생활적응(20.8%), 실생활교육(18.9%) 등을 꼽았고, 배우고 싶은 한국문화학습 프로그램은 한글교육(44.3%), 생활적응교육(18.5%), 컴퓨터 사용(9.2%)을 꼽았다.
● 다문화사회 조성 위한 제안
보고서는 조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정책 3단계의 주요 과제를 제시했다.
단계별 정책은 문화적 다양성 기반 조성(1단계), 문화적 다양성 증진 지원(2단계), 문화적 인적자원 개발(3단계) 등이다. 시기별 특성은 적응과 이해→존중→창조의 3단계로 정의되며 이를 통해 창조적 다문화시민사회 조성을 목표로 한다.
1단계에는 급증하는 이주외국인과 그에 따른 사회전반적인 분위기가 다문화사회로 변화하는 '사회적 다문화'단계로, 이 시기의 특성은 '적응'과 '이해'로 규정된다. 이 시기에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ㆍ운영 △다문화박물관 등 문화교육을 위한 전문 공간서 다문화 이해ㆍ경험 △다문화특화마을 조성 △다문화 교육전문가 육성 등을 추진한다.
2단계는 '존중'을 특성으로 한 시기로 다문화 네트워크, 문화적 다양성 표출 등을 통해 다문화적 가치와 다양성, 상호존중의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창조'를 특성으로 내세운 3단계에는 아시아 국가와 발전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문화 특성들을 반영한 다문화 콘텐츠 개발, 취업ㆍ창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김만선 기자 ms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