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도청 별관 해법 없나
김만선 정경부 차장
2008년 12월 04일(목) 00:00 |
![]() |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단은 4일께 공사의 중단을 선언할 예정이었으나 내년 예산과 관련된 국회 일정 등을 고려해 발표 시기를 미뤘다.
일부는 언론이 사전에 보도를 하는 바람에 예정된 일정대로 추진하기가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추측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추진단은 옛 전남도청 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측이 별관 보존에 대한 원칙을 굽히지 않는 한 공사를 계속 진행하기는 힘들다고 강조하고 있다.
추진단의 한 관계자는 "국회 일정 등이 겹쳐 전당과 관련된 기자회견 시기를 늦췄다"면서 "도청 별관이 보존되고, 공사가 지연되면 오는 2012년 5월18일로 예정된 완공일에서 그만큼 미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ㆍ18공대위 역시 추진단의 입장에 맞서 '도청 별관 보존'을 목청껏 외치고 있다. 2일에는 5ㆍ18과 관련된 지역 원로들이 별관 보존을 주장하는 성명서까지 내놓았다.
5ㆍ18공대위는 특히 추진단이 '공사 중단'을 압박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각 언론 매체 등을 통해 별관 해체를 적극 홍보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5ㆍ18공대위 관계자는 "우리도 재정이 넉넉하면 언론 등을 통해 적극 홍보에 나설텐데 형편이 닿지 않아 아쉽다"면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도청 별관은 반드시 보존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추진단과 5ㆍ18공대위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 사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해법 모색도 그만큼 힘들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추진단이나 5ㆍ18공대위측 모두 해체와 보존을 전제로 논의를 전개할 뿐 그 어느 쪽도 양보할 의사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운 해법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던 시민토론회 역시 아무런 성과없이 끝났다는 점은 사태 해결에 대한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광주시나 지역 시민단체 역시 뚜렷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광주시의 경우 5ㆍ18공대위측에서 보존과 해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부담을 느끼고 있는 듯 하다. 시민단체 역시 뚜렷한 중재안이나 양보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사태 장기화가 예상되면서 사업차질을 우려하는 시민들도 늘고 있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추진단과 5ㆍ18공대위측 모두 '광주를 문화중심도시로 조성한다'는 명제에는 이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추진단과 5ㆍ18공대위는 물론 광주시, 시민단체 등이 모두 광주 시민의 편에 서서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