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교차 심한 환절기의 불청객 '구안와사'
[한의학 이야기]
안면신경 기능 문제로 얼굴 마비 생기는 증상
육체적·정신적 과로, 감기 앓고 난 후에
귀 뒤쪽 아프면서 발생… 한약·침·전기침 치료
2015년 06월 05일(금) 00:00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란?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면 구안와사 환자들이 증가한다. 구안와사란 얼굴의 근육을 움직이는 안면신경 기능에 문제가 생겨 얼굴에 마비가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한쪽 얼굴에 마비가 와서 입이 비뚤어지고 눈이 감기지 않으며 감각이 없어지기도 한다. 구안와사는 귀 뒤에 있는 유양돌기의 염증이나 대상포진이 안면신경에 침투해 발생하는 람세이-헌트 증후군 등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경우는 특별히 원인이 될 만한 질환이나 외상이 없이 마비가 오는 벨 마비(Bell's palsy)다.

대개 육체적ㆍ정신적 과로, 정서적 충격, 감정적 불안을 겪은 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찬바람을 얼굴에 직접 쐰 후, 찬 바닥에 얼굴을 대고 잔 후, 환절기에 감기를 앓고 난 후 귀 뒤쪽이 아프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자주 있다.

구안와사 증상은 다음과 같다. △양치질 중에 한쪽으로 물이 흘러나온다. △이마 주름이 잡히지 않는다. △눈이 제대로 감기지 않는다. △콧구멍의 움직임이 비대칭적이다. △입이 O형으로 오무려지지 않고 "오" 소리를 잘 못 낸다. △입술을 맞대고 입술 외각을 바깥 위쪽으로 당겨서 웃는 입모양을 하려고 해도 잘 안 된다. △마비된 쪽의 귀 앞이나 뒤로 통증이나 마비감이 생긴다. △마비된 쪽 귀에서 소리가 크게 들린다. △눈물이나 침의 양이 평소와 다르다.

●구안와사의 구분

갑자기 한쪽 얼굴이 마비되어 비뚤어지고 감각이 없어지면서 음식물을 흘리게 되면 중풍이 아닌지 걱정하게 된다. 구안와사가 발생하면 먼저 중추성과 말초성을 구분해야 한다. 뇌종양, 뇌혈관장애, 뇌염등 중추성으로 발생한 안면마비의 경우 대부분 한쪽 팔다리의 마비나 언어장애, 연하장애등 다른 증상을 동반하게 되며, 이마에는 주름이 지어진다. 반면에 얼굴에만 마비가 온 경우나 이마에 주름이 안 지어진다면 말초성 안면마비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중풍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구분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빨리 의료기관을 찾아 정확한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구안와사의 유발요인

구안와사를 유발하게 된 대표적인 요인에 대한 조사에서는 과로나 피로로 인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 찬바람, 과음, 임신·출산 등이 다음으로 집계됐다. 과로·피로, 스트레스로 구안와사가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절반을 넘는다는 조사도 있다.

●구안와사의 경과

일반적으로 1주일 정도의 진행기 이후에 8주 내외의 회복기를 통해 회복하게 된다. 특발성 안면마비의 경우 80% 정도의 환자가 회복이 되지만 15∼20% 정도의 환자는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후유증이 남게 된다. 불량한 예후를 보이는 경우는 △급속하고 완전한 마비인 경우 △지연형으로 회복되는 경우 △효과적인 치료가 늦었을 때 △60세 이상의 환자 △耳痛이나 顔面痛이 있을 때 △미각이 소실된 경우 △당뇨병, 고혈압, 정신신경증 등의 질환이 있는 환자 △Electrodiagnostic 검사에서 이상소견을 보일 때 등이 있다.

구안와사의 한방치료

한의학에서는 한사(寒邪)와 풍사(風邪)가 얼굴경락을 침범해 안면에서 氣血의 흐름이 정체되어 발생하는 실증(實證)의 경우와 과로나 감기 등으로 인체의 면역력이 저하된 기혈허약(氣血虛弱)의 허증(虛證)으로 인한 경우, 때로는 두 가지 원인이 함께인 경우로 구분해 치료한다. 한약은 급성기와 회복기로 구분하여 안면 경락의 기혈을 소통시키고 풍사, 한사를 제거하며, 기혈을 보강함으로써 신체의 회복력을 향상시켜 마비된 신경의 회복을 도와준다. 침, 전기침 치료는 마비된 안면부의 기혈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마비된 근육에 자극을 주어 회복을 돕는다. 한약을 증류하여 멸균처리한 약침액을 안면부의 주요 혈자리에 주입함으로써 근육의 회복력을 증강시키는 약침요법도 시행한다. 그밖에 물리요법으로 ssp, 고주파, 레이저 치료는 마비된 근육의 회복에 도움이 된다. 회복의 경과가 나쁘거나 후유증이 남을 확률이 높은 경우는 매선요법을 사용하여 안면부의 근육 및 경혈에 지속적인 자극을 가할 수 있고 비대칭된 얼굴의 교정에도 효과가 있다.

●안면마비 예방을 위한 수칙

1. 육체적인 피로와 과로가 축적되지 않도록 한다.

2.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긴장을 적절히 해소한다.

3. 여름철 과다한 냉방 및 찬 음식을 주의한다.

4. 과음을 하지 않는다.

5.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유의한다.

신정철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