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가 땡긴다' 광주독립영화제
30일부터 광주영상복합문화관… 51편 무료 상영
소안도 피의 역사 다룬 개막작 '소안의 노래' 등
2015년 10월 27일(화) 00:00
광주독립영화제 \'광주의 배우\'로 선정된 김신혜 씨의 \'사이렌\'. 광주독립영화협회 제공
올해 광주독립영화제는 관람객들의 '구미를 땡기게 만드는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역사적 사안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비롯해 10대 청소년들의 기발한 상상력이 담긴 단편 영화, 장르의 경계를 넘나드는 극실험영화 등… .

광주영상복합문화관 G시네마에서 오는 30일부터 내달 1일까지 열리는 '광주독립영화제'.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영화제는 '구미가 땡긴다'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총 51편의 창작 독립영화를 선보인다.

영화제 개막작은 김경자 감독의 '소안의 노래'다. 이 작품은 완도의 작은 섬 '소안도에 얽힌 역사적 진실'을 담아냈다.

이 작품의 배경이 되는 소안도는 함경도 북청, 부산 동래와 함께 항일독립운동 3대 성지로 불릴 만큼 당시 격렬한 운동이 이뤄졌던 섬이다. 한국 전쟁 전후로는 이념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많은 희생이 따르기도 했다.

김 감독은 "지난 9년 동안 소안도 주민들로부터 들은 이야기를 통해 그곳에서 자행된 피의 역사를 밝히고 싶었다"고 전했다.

광주지역 청소년들이 선보이는 실험적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광주1318 섹션'은 주목할 만하다. 래미학교 영화반 학생들은 전설의 라면을 찾기 위한 모험을 그린 '라면 동아리', 과자 한 봉지에 목숨을 걸고 달리는 두 남자의 이야기인 '그냥 과자 이야기' 등 기발한 상상력으로 무장한 10편의 작품을 선보인다.

특별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극실험영화에는 '공시상영'이 선정됐다. 극실험영화는 시나리오에 따라 배우가 연기를 펼치는 기존의 영화 문법에서 벗어나 다양한 예술 장르를 혼재해 표현하는 실험적인 작업이다.

이 작품은 '오픈예술지구 바림'에서 지난 7월 단기 영상 레지던시 프로젝트 일환으로 2주 동안 45만원의 비용으로 제작한 영화다. 광주문화재단의 기금을 받아 기획된 이 영화에는 미술가, 다큐멘터리ㆍ극영화 감독, 팟캐스트 제작자 등으로 구성된 13개 팀이 참여했다. 100분 짜리 분량의 '공시상영'은 13개 팀이 작업한 15개 영상 작품을 엮어낸 실험적인 작품이다.

광주출신 배우를 조명하는 순서도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번째로 선보이는 '광주의 배우' 섹션. 그동안 광주에서 제작된 수많은 작품에 배우ㆍ스태프로 참여한 김신혜 씨가 선정됐다. 김씨의 출연작인 '소식', '사이렌' 등 5개의 작품이 상영된다.

오윤주 감독의 다큐멘터리 '광주극장', 제1회 광주독립영화제부터 꾸준히 참여 중인 백종록ㆍ유명상ㆍ송원재ㆍ조재형 감독의 신작도 스크린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올해 영화제의 대미를 장식할 폐막작은 이순학 감독의 '로맨틱 블릿'이다. 광주출신의 행위예술가 김광철 씨를 다룬 다큐멘터리다. 김씨가 세계 곳곳을 돌며 펼친 행위예술을 사진과 영상으로 기록했다. 예술은 '낯선 것'이라는 가치를 내걸고 다소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던 김씨의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전 작품 상영 후에는 '관객과의 대화' 시간을 통해 영화에 얽힌 에피소드나 궁금증에 대해 묻고 답하는 자리가 있다.

관람료는 무료. 자세한 사항은 광주독립영화협회 홈페이지(cafe.daum.net/indif)를 참고하면 된다.

김정대 기자

제4회 광주독립영화제 일정

날짜

시간

프로그램

10/30

18:00

극영화 '아무도 없었다ㆍ목에 칼ㆍ삼포 가는 길ㆍ상승기류'

19:30

개막작 '소안의 노래'

10/31

12:00

광주1318 '바람 속을 걷는 법ㆍ삐에로는 춤춘다ㆍ
백치ㆍ치부ㆍ이태백은 생각보다 멍청하다'

14:00

광주1318 '래미학교 영화반-라면 동아리ㆍ희연이의 외출ㆍ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ㆍ그냥 과자 이야기ㆍ윤진이의 반란ㆍ술래잡이ㆍ가출ㆍ남극ㆍ메세지ㆍ난 어린 남자 아이다

16:00

다큐멘터리 '구동존이ㆍ카메라 렌즈에서 피어난 꿈ㆍ손끝에 스치면ㆍ광주극장'

18:00

김신혜 특별전 '소식ㆍ사이렌ㆍ신발분실주의ㆍ점점ㆍ사이'

19:30

특별프로그램 '공시상영'(100분)

11/1

12:00

광주1318

14:00

극영화 '함평ㆍ순천만 아이들ㆍ더미:노 웨이 아웃ㆍ우리 누나 박가현ㆍ어느 주말ㆍ이사'

16:00

극영화 '서른ㆍ8월 32일ㆍ사류ㆍ좋은 선생님ㆍ지상의 양식ㆍ인터뷰'

18:00

5월 이야기 '보고 싶다ㆍ오월여성ㆍ광주정신'

19:00

폐막작 '로맨틱 블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