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면의 문턱으로 향하는 ‘내 가방 속 물건들’
내달 19일까지 드영미술관 기획전
김자이, 휴식방법 탐구로 자아 집중
이유빈, 어린 시절 고향 ‘섬’ 모티브
이인성, 프레임에 구상과 추상 공존
박정일, 반려동물 공생관계로 인식
김자이, 휴식방법 탐구로 자아 집중
이유빈, 어린 시절 고향 ‘섬’ 모티브
이인성, 프레임에 구상과 추상 공존
박정일, 반려동물 공생관계로 인식
2023년 10월 29일(일) 14:38 |
![]() 드영미술관 왓츠 인 마이백 포스터. |
전시 제목으로 쓰인 ‘What‘s in my bag(왓츠 인 마이백)’은 유명인들이 SNS, 유튜브 등의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애장품을 가방 속에서 하나씩 꺼내며 소개하는 콘텐츠 명이다. 이 콘텐츠는 이른바 완판이 되게 하는 광고효과를 가지기도 하지만, 내가 동경하는 사람의 소중한 물건에 얽힌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다. 가방 속 소지품은 곧 나의 삶, 즉 나 자신과 직결될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성격이나 취향,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정보가 가득하다. 전시에 참여한 김자이, 이유빈, 이인성, 박정일 작가는 이처럼 일상에서 미학적 가치를 발견해 자신들의 내면을 화폭에 그려낸다.
먼저 김자이 작가는 본인의 휴식방법과 타인의 휴식방법을 서로 교환하며 공유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이번 전시는 수천 건이 넘는 그동안의 공유 리서치 결과의 일부로 공간을 조성했다. 누군가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 원하는 것을 잃은 채 살아가기도 한다. 속도주의, 성과주의의 사회에서 나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듯 방황하지만, 그 모습조차도 나 자신임을 인정하는 것이 나를 알아가는 첫걸음일 수 있다. 관객의 참여를 통해 완성되는 작품은 조용한 공간에서 오롯이 나에게 집중하고 마음을 살피게 하여 자신에 대한 의식이나 관념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유빈 작가는 어린 시절 고향에서의 상상을 건져 올려 섬을 모티프로 한 작업을 선보인다. 섬은 인생을 살아가면서 불가피하게 연결된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그에 수반된 과제들 속에서 평안과 안식이 있는 나만의 공간으로 재해석된다. 실제 자연의 색채가 아닌 푸른 계열의 한 가지 색을 사용하거나 섬을 하얗게 도포해 의도적으로 여백을 두는 것은 마음 속 어딘가에 육체적, 정신적으로 쉬어갈 만한 곳을 마련하게 한다. 작가에게 있어 섬으로 향하는 것은 결코 일상과의 단절을 의미하지 않는다. 다음 세계로 향하기 위한 사유(私有)의 공간이자, 사유(思惟)의 세계인 것이다.
![]() 이인성 작 나만의공간. |
![]() 박정일 작 Family(가족). |
영원한 젊음이라는 뜻의 드영미술관은 동구 운림동에 있다. 전시관람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도선인 기자 sunin.d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