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해상풍력·AI센터 제대로 알고 비판해야
이준석 막말 발언 논란
2025년 05월 20일(화) 17:06 |
이 후보는 “풍력이 불안정하다”는 점을 들어 해남이 부적지라고 주장했지만, 현재 전남도와 업계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스마트그리드, 수소연료전지, 송전망 확충 등 다양한 보완 수단을 적용하고 있다. 실제 신안 해상풍력 1단지는 ‘선접속 후제어 방식’을 도입해 발전량의 불확실성을 기술적으로 보완했다. “해저케이블이 없기 때문에 안 된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국내 통신 인프라는 세계 최고 수준이며, 해저케이블 없이도 6개월이면 고속 통신회선 연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물론 우려와 지적은 필요하다. 해상풍력의 외국계 의존도가 높은 건 사실이고, 데이터센터 전력 수급 안정성에 대한 기술적 보완이 필요한 것도 맞다. 그러나 그 자체를 이유로 ‘망상’이라거나 ‘불가능’이라 단정짓는 태도는 과학적 근거도 없고 정책적으로도 타당하지 않다. 지방정부가 10년을 내다보고 짠 미래전략을 일거에 허물어뜨리는 식의 발언은 정치적 유불리를 따질 수는 있겠지만, 지역의 신뢰와 산업 생태계에는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정당 간 비판이 아니라 사실과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정책적 경쟁이 필요한 이유다. 특히 에너지전환과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해남과 신안이 그 가능성을 실험하고 있는 중이라면, 필요한 것은 발목잡기가 아니라 냉철한 토론과 제도적 보완이다. ‘비판’은 언제든 가능하다. 다만 그것이 지역을 위한 것이라면 적어도 ‘알고 하는 비판’이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