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김미남>민주당, 호남 경선룰 국민여론조사 100% 적용해야
김미남 전 청와대 행정관
2025년 07월 06일(일) 16:27 |
![]() 김미남 전 청와대 행정관 |
최근 정당에선 경선 방식으로 일반 국민여론조사를 선호하여 채택한다. 당원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도 경선에 참여하도록 함으로 민주적인 방식으로 후보자를 선택하기 위함이다.
지난 6·3 조기대선 이후 정치권의 관심과 열의가 달아오르면서 차기 지방선거 시계도 빨라지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는 시장과 도지사, 교육감, 시·군 단체장과 지방의원을 동시에 선출한다. 지선에서 가장 중요한 관건은 ‘경선룰‘이다. 호남은 민주당의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공식이 적용되는 곳으로 본선보다 당내 경선 경쟁이 더욱더 치열하다.
문제는 당내 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 방식에 대해 변화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호남지역 여론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지난 조기대선과 2022년 지선에서 시행했던 권리당원 50%·일반 국민여론조사 50%의 적용 방식 변화 요구를 말한다.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에서 ‘호남 경선룰’을 일반 국민여론조사 100%를 적용해야 한다. 일반 국민여론조사는 당원뿐만 아니라 당원이 아닌 일반 유권자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런 방식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진정한 대중의 목소리를 반영하기 위한 목적이며 경선 후보자 선택에 적용된다.
민주당은 이런 목소리가 강할수록 경선룰의 조정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다. 호남은 지난 6·3 조기대선에서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게 득표율 84.43%(광주 84.77%, 전남 85.87%, 전북 82.65%)의 압도적 지지로 대선 승리와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대선 과정에서 당시 이재명 민주당 후보와 중앙당 관계자들도 권리당원이 많은 호남은 경선시 권리당원 반영 비율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조국혁신당은 내년 지선에서 광주·전남뿐만 아니라 전북까지 호남 전 지역구에 후보를 내고, 공천을 목표로 민주당과 경쟁을 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4월 22대 총선에서는 반민주당 정서가 확인됐다. 호남의 유권자는 ‘지민비조(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대표는 조국혁신당)’로 전략적 선택을 했다. 그 결과 비례대표 득표율은 조국혁신당이 민주당을 모두 앞섰다. 같은 해 10월 전남 영광군수·곡성군수 재보궐선거에서도 존재감을 보여줬고, 올해 4월 담양군수 재선거에서는 확실한 승리로 당선됐다.
지난 총선과 앞선 두 번의 선거에서 보여줬듯 조국혁신당이 지역 선거에 미칠 영향도 민주당은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호남은 민주당의 텃밭으로 권리당원 수가 타 지역을 압도한다. 지난 6·3 조기대선 경선에 참여할 수 있었던 권리당원 수는 광주 7만명, 전남 15만명, 전북 16만명 가량으로 대략 38만명에 달한다. 이는 민주당 전국 권리당원 110만명의 35%를 차지한다.
민주당 지지도가 전국 어느 곳보다도 독보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당원과 일반 시민의 정치·정서적 차이와 괴리감도 별반 크지 않다. 당내 경선이 곧 당선인 호남에서 역량과 자질·도덕성에 흠결 있는 후보가 강한 정치세력을 등에 업고 공천된다면, 당심이 민심을 왜곡할 수 있다. 당원이 포함된 일반 유권자와 시민들에게 선택권을 줘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