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수사망에 고립…윤 전 대통령 부부 '사면초가'
2025년 07월 11일(금) 16:44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가동된 3대 특별검사팀의 수사가 전방위로 확대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를 향한 수사망이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된 직후 자택까지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압박이 연이어 이어지고 있다. 동시에 김건희 여사 역시 연이은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부부가 사면초가에 몰린 형국이다. 일부 특검은 자료 공유와 사안별 조율 가능성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여기에 야권 내 ‘지원군’ 역할을 했던 세력들도 잇따라 등을 돌리고 있다. 여당 일각에서는 윤 전 대통령을 둘러싼 계엄 관련 혐의로 ‘위헌정당’ 해산심판 이야기가 나오며 한때 힘을 실어줬던 정치권의 분위기도 급변했다.

조은석 내란특별검사팀은 사건을 넘겨받자마자 윤 전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청구하며 수사를 강하게 밀어붙였다. 체포영장이 기각된 뒤에도 곧장 고검 청사 사무실 소환 조사를 진행했고, 비공개 출석을 요청한 변호인단 요구도 거부해 포토라인을 통과하도록 했다.

두 차례 조사 후 특검은 빠르게 구속영장을 청구했고, 결국 출범 한 달여 만에 윤 전 대통령의 신병을 확보했다.

김건희 여사에 대한 수사는 민중기 특검팀이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김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에 대한 압수수색영장을 청구했으나, 법원에서 기각된 바 있다.

또 이명헌 순직해병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의 서초동 자택을 압수수색하며 추가 자료를 확보했다. 전날 구속된 윤 전 대통령 대신, 당시 자택에는 김 여사만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 분위기도 싸늘하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기자회견에서 12·3 비상계엄을 ‘불법’으로 규정하며 공개 사과했고, 윤희숙 위원장이 이끄는 혁신위원회는 계엄·탄핵 관련 ‘대국민 사죄문’을 당헌에 명시하겠다고 밝혔다.

내란특검이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 과정에서 불참한 여당 의원들까지 조사할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해병특검은 ‘VIP 격노설’과 관련해 임종득 의원의 국회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이에 송 원내대표를 비롯한 의원들은 현장에서 수사 중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세 특검이 각자 의혹의 정점을 향해 동시에 칼끝을 겨누면서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점점 더 고립되는 모습이다.

윤 전 대통령은 구속영장 심사 당시 최후진술에서 “국무위원들도 모두 떠났고, 나는 완전히 고립무원의 처지에 놓였다”며 “변호인을 구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병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