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제총 살인 현장, 지휘관 부재 논란…“매뉴얼 몰랐다” 해명
신고 70분 지나서야 현장 도착
초동 대응·지휘 공백 비판 커져
경찰 “현장 구조 시도 있었다” 해명
2025년 07월 26일(토) 15:28
‘인천 사제총기 사건’ 피의자 자택 수색하는 경찰. 서울소방재난본부 제공=연합뉴스
인천 송도 사제총기 살인 사건 당시 현장에 즉시 출동해야 할 경찰 지휘관이 70분 넘게 도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지휘체계 부실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6일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사망 피해자 A(33)씨의 아내가 20일 오후 9시 31분 112에 긴급 신고를 했고, 경찰은 위급도를 최상위로 분류하는 ‘코드0’를 즉시 발령했다.

그러나 사건을 지휘해야 할 관할 경찰서의 상황관리관 B 경정은 현장에 출동하지 않았으며, 경찰특공대가 진입해 범인이 없음을 확인한 이후인 오후 10시 43분에야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 매뉴얼에 따르면, 코드0 상황 시 상황관리관은 초동 대응팀과 함께 현장에 출동해 지휘권을 행사해야 한다. 불가피하게 출동이 어렵다면 팀원 중 선임자를 지휘자로 지정해야 하지만 이마저도 이행되지 않았다.

피의자 C(62)씨는 범행 직후 이미 현장을 이탈한 상태였으며, 경찰은 오후 10시 40분 특공대를 통해 현장에 진입했지만 피해자 A씨는 이미 숨진 뒤였다.

경찰은 피해자 아내와 통화를 이어가며 내부에 범인이 남아있을 수 있다고 판단해 즉각적인 진입을 미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도어록이 파손돼 있었던 점, C씨의 도주를 뒤늦게 인지한 점 등은 초동 대응의 허점을 드러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B 경정은 현장 출동 지연과 관련해 “사무실에서 무전을 대신하고 내부망으로 상황을 전달하는 등 지휘 노력을 했다”고 해명했지만, 매뉴얼 숙지 부족을 인정하며 “판단이 잘못됐다”고 말했다.

건 피의자 C씨는 자신의 생일날 열린 가족 모임 도중 사제총을 발사해 아들 A씨를 살해한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다. C씨의 주거지에서는 다량의 인화물질과 발화 타이머가 발견됐으며, 시점은 범행 이튿날로 설정돼 있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위기 대응 매뉴얼과 지휘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에 나설 방침이다.
정유철 기자 yoocheol.je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