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특집]앞뒤 안보고 달렸다간 1900억원 적자 F1 따라간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특별기획
[창사특집]앞뒤 안보고 달렸다간 1900억원 적자 F1 따라간다
[민선 20년, 글로벌 마케팅] '메가 이벤트' 실패에서 배운다
애초부터 예견됐던 빚잔치
4년간 열리면서 눈덩이
광주세계광엑스포 역시
사후활용 등 대표적 실패 사례
인지도 상승 등은 긍정적이지만
실패 땐 피해 감당은 시도민몫
큰 이벤트일수록 신중한 접근을
  • 입력 : 2015. 07.20(월) 00:00
지난 2013년에 영암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열린 F1 코리아 그랑프리 결승전 경기. 전남일보 자료사진
국제적인 '메가 이벤트'를 유치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개최도시의 위상을 올리는 데 있다.

21세기 세계화 시대에는 국제적 메가 이벤트 개최로 인한 개최지의 브랜드 가치 향상 또한 주요한 개최 효과로 인식되고 있다. 국가나 도시에서 이벤트를 개최함으로써 그 국가나 도시는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는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해당 국가는 홍보 효과를 가지게 되고 여러 경제적ㆍ사회적 파급효과를 누리게 된다. 또 관광객 유입, 소비촉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경제적 파급 효과뿐만 아니라 해당 국가의 국민통합, 국가적 자부심 형성, 선진시민 의식 구축, 국내경기 활성화 등의 여러 간접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광주와 전남에서도 그동안 국제적 메가 이벤트 개최는 많았다. 가깝게는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였고, 여수엑스포, F1(포뮬러원) 그랑프리, 광주세계광엑스포 등이다.

하지만 모든 메가 이벤트가 '성공'으로 마무리되지는 않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F1(포뮬러원) 그랑프리이고, 광주세계광엑스포다.

●'적자논리'에 중단된 F1

전남도는 박준영 전 지사의 재임 시절인 2006년 2월 F1 그랑프리 국내대회 유치를 확정했다.

2009년 12월에는 박 전 지사를 당연직 위원장으로 하고 위원 114명을 기반으로 조직위를 출범했다. 대회는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 동안 매회 열기로 했다. 유치 당시 전남도가 제시한 경제효과는 약 5조원이었다. 섬과 해상공원으로 둘러싸인 영암군에 경기장을 지어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고 생산과 소득, 고용유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공언했다.

경주장 건설비용 4285억원 중 국비를 제외한 3000억원을 전남도가 대고 이 가운데 1980억원을 지방채를 발행하며 의욕적으로 대회를 추진했다.

2010년과 2011년은 F1 그랑프리 개최권을 가지고 있던 'F1 한국대회 운영법인(KAVO)'이 대회를 치렀고, 2012과 2013년은 KAVO로부터 개최권을 넘겨받아 조직위가 직접 대회를 치렀다.

4차례의 대회개최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특히 외형적인 부분이 심각했다. 4년 동안 발생한 운영 적자는 1902억원에 달했다. 손실이 거듭되자 박준영 전 지사는 사실상 백기를 들었다. 그는 2014년 대회개최를 포기하기로 하면서 "F1 대회를 개최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과 도민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합의가 필요하다. 한 해 쉬고 심사숙고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좋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그사이 수장이 바뀌면서 적자를 감수하면서까지 대회를 개최할 명분이 사라졌다. 대회는 2014년 중단된 뒤 올해까지 열리지 않고 있다.

●지역인지도 상승 등 긍정적 효과도

물론 성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외형상 4차례의 대회 기간 전 세계 185개국 4억5000명에게 F1 대회가 생중계됨에 따른 국가브랜드 및 지역 인지도가 높아졌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또 4년 연속 16만여명의 관람객이 F1경주장을 방문하고 모터스포츠 불모지였던 국내에도 F1의 대중 스포츠로 정착 가능성을 확인시켰다. 지역 내 직ㆍ간접적 경제적 파급효과도 5655억원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한국산업개발연구원 분석자료인데, 역내 직접소비지출 370억원, 생산유발 3718억원, 부가가치유발 1567억원 등이다.

자동차 관련 산업 육성 R&D 기반 구축도 성과 중 하나다. 차부품고급브랜드화 사업이나 튜닝산업 지원시스템 구축사업 등이 그 예다.

하지만 이 모든 긍정적 성과는 '적자 논리'에 파묻혔고, F1 대회를 지속해야 할 '명분'으로는 부족했다.

●활용방안 못찾는 광엑스포 주제관

2014년 광주에서 열린 광주세계광엑스포도 실패한 사례로 꼽힌다. 수년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광엑스포 주제영상관 때문이다.

세계광엑스포 전시관은 지난 2010년 열린 광주세계광엑스포를 위해 지어진 건물이다. 광엑스포 당시 설치된 시설 중 유일한 영구 전시관이다. 시는 이 건물을 지으면서 국비 34억원 등 모두 80억9800만원을 들였다.

하지만 광엑스포가 끝난 뒤 이 건물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광엑스포 행사에 맞춰 설계된 탓에 대관도 임대도 어려워 현재는 아이들을 위한 애니메에션 등 영화 상영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올 상반기 상영프로그램 관객 1만6000여명을 제외하면 공연이나 행사 관람 등 이용은 6200여명에 불과하다.

광주시가 고민 끝에 올해 6000여만원을 투입해 시설 개보수를 비롯해 관객을 유인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 등에 나섰지만 주제관 활성화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현재 홀로 남은 주제관은 시 출연기관인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이 시로부터 2억5000만원을 지원받아 주제관을 운영하고 있다.

●"메가 이벤트는 신중한 접근을"

결국 '신중한 검토와 접근'이 필요한 게 메가 이벤트다.

잘못된 메가 이벤트는 두고두고 세금 먹는 하마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광엑스포 주제영상관처럼 행사를 위해 지은 시설이 쓸모를 찾지 못해서다.

전남도의회 강성휘(목포1) 의원은 "메가 이벤트의 타당 검토는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ㆍ도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F1 대회가 그 좋은 예"라고 지적했다. 이어 "단체장의 치적 쌓기용으로 추진되는 메가 이벤트는 결국 단체장의 '의지'가 들어갈 수밖에 없고 그렇다 보면 타당성 검토 자체가 객관성이 떨어지게 되는 것"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메가 이벤트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뉴욕타임스도 올초 "한국의 많은 사람들이 '투입된 대부분의 재정이 공적 자금인 영암 F1대회는 애초 시작부터 잘못된 일'이라고 말한다"며 "2007년 초 국회 예산정책처와 정부 연구기관도 전남도의 예상 수입이 과장돼 있다고 경고했다"고 박준영 전 전남지사 등 당시 정책 결정권자들의 판단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홍성장 기자 sjhong@jnilbo.com
특별기획 최신기사 TO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