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청소년 쉼터 입소율 낮아 유인 대책 필요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광주 청소년 쉼터 입소율 낮아 유인 대책 필요
가출 청소년 머무는 청소년 쉼터 ||5개소·정원 35명 중 19명만 이용 ||부모 연락·규칙 이유로 이용 꺼려 ||운영 방식 유연화·의견 수렴 중요
  • 입력 : 2022. 11.08(화) 17:15
  • 강주비 수습기자
청소년쉼터 홍보 배너.
광주지역 가정 밖 청소년들(가출 청소년)이 쉼터를 기피하고 있다.

부모에게 입소 사실이 알려지거나 엄격한 규율로 통제당하는 것을 꺼리기 때문인데, 전문가들은 쉼터 확대 및 운영 체계를 유연하게 전환해 가정 밖 청소년들을 보호망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한다.

8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에 따르면 가정 밖 청소년들이 머물 수 있는 '청소년 쉼터'는 생활보호시설로서 전국 138개소가 있다.

광주의 경우 총 5곳으로 이동형 버스 형태인 일시 쉼터를 제외, 쉼터당 정원은 7~10명 정도다. 광주에서 총 35명의 청소년만이 쉼터 머물 수 있다는 뜻이다. 부산·울산 등의 쉼터도 5곳이지만, 이들 정원은 50명을 웃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이용률은 한참 낮다. 광주시는 지난달 말 기준 관내 청소년 쉼터 입소자는 19명으로 입소율 54%에 그친다고 밝혔다.

광주의 한 쉼터 관계자는 "이용자 1명당 머무는 기간까지 고려한 '연일수'를 기준으로 하면 이용률이 60~70%에 이른다"면서도 "서울·인천·부산 등에 비하면 광주는 낮은 편"이라고 말했다.

여성가족부가 지난 2020년 진행한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를 보면 청소년의 2.5%가 가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광주 청소년 인구인 13만4000여 명에 적용하면 3000명을 웃도는 청소년이 가출 경험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이들 모두가 장기적인 가정 밖 청소년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난달 기준 실종 접수된 18세 미만 아동·청소년의 수가 705명에 달한다는 광주경찰 통계에 한하더라도 쉼터 정원의 수십 배에 달하는 인원이 '쉼터 밖'에 있음은 분명하다.

국회입법조사처가 펴낸 '홈리스 청소년 지원 입법·정책 과제'에 따르면, 가정 밖 청소년 72.5%가 가출 이후 '친구 또는 선·후배 집'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관, 모텔, 달방, 월세방'에서 머문 경우가 41.2%로 그 뒤를 이었다. '청소년 쉼터'에 머물렀다고 답한 청소년은 37.7%에 그쳤다.

이들이 쉼터를 피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부모에 연락이 가는 것이 싫어서', '규율이 엄격해서', '결국엔 가정으로 돌아가야 해서'다.

쉼터 입소 시 72시간 이내에 보호자에게 연락해야 한다. 가정학대·폭력 피해자는 피해상담 사실확인서 등을 제출하면 예외를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러나 가정을 '탈출'한 청소년들에게 부모에게 연락이 가거나 피해를 입증하는 등의 절차는 큰 부담으로 다가온다.

쉼터의 최종 목표가 '가정 복귀'에 있다는 점도 이용률 저조에 영향을 끼친다. 청소년 '쉼터'는 명칭 그대로 가정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일정 기간 보호·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청소년복지 지원법'에 따라 청소년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퇴소는 금지되고 있기는 하지만, 쉼터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거나 확신을 얻지 못한 청소년들은 발을 들이기 망설이는 실정이다.

또, 쉼터에 입소하더라도 △핸드폰 사용 시간 △통금 시간 △상담 및 치료 프로그램 필수 참여 등의 규제를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쉼터 관계자는 "쉼터에 입소하는 대부분 청소년은 가정 내 문제로부터 시작해 대인관계 유지 및 공동체 생활에 대한 문제도 동시에 겪는다. 그러다 보니 집단생활과 쉼터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규칙들을 힘들어한다. 입소 전 상담 시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설명해주고 최대한 합의점을 찾으려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쉼터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입소 절차와 시설 규율 등 운영 방식을 유연화해 이용자 개개인에 맞춘 지원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다.

장춘옥 호남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청소년 쉼터와 같은 아동청소년 복지 시설은 어른들의 시각에 맞춰 만들어진 제도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꺼리는 획일화된 구조가 나타날 수밖에 없다"면서 "아이들은 또래의 '입'을 통해서 정보를 얻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문제를 가진 아이들끼리 시설을 이용한 후기 등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접하게 되면 (쉼터를) 가보지도 않고 입소를 포기하는 일도 많다. 학교 등 아이들이 있는 곳을 직접 방문해 정보를 전달하고 의견 수렴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경 서구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장은 "쉼터가 낮은 정원률을 보이는 것은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다. 쉼터가 아이들이 진짜 '쉴' 수 있는 환경인지 따져봐야 한다"면서 "아이들의 욕구는 계속 바뀌는데 쉼터 운영 방식은 과거와 달라진 게 없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아이들의 자율권을 넓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또 "쉼터 선생님들은 시설 내 아이들을 돌보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가정 복귀 시) 사후 모니터링을 소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사후 관리를 전문·체계화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주비 수습기자 jubi.ka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