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12월 임시국회 현안 합의 '난항'
보수 야당, 특감반 사태 운영위 소집 요구...청와대 정조준 민주당, "무엇을 기대하는지 모르겠다" 수용 불가 입장  
2018년 12월 24일(월) 17:56

여야 3당 교섭단체 원내대표가 24일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현안에 대해 협상에 나섰지만 국회 운영위 소집을 둘러싼 이견으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보수 야당은 '청와대 특별감찰반 사태'와 관련해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을 정조준하면서 여야의 대립각은 더욱 커지고 있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나경원 자유한국당·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만나' 유치원 3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등 민생법안 처리와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에 대해 논의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보수 야당은 김태우 전 특감반원 논란과 관련한 운영위 소집을 여당에 촉구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민간인 사찰 의혹, 정권실세 비리 의혹을 묵인한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며 "임종석 비서실장과 조국 민정수석이 운영위에 출석해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도 "청와대 특감반원 첩보 생산과 관련한 논란을 해소하려면 우선적으로 국회 운영위를 소집해야 한다"고 청와대와 여당을 압박했다.

보수 야당은 관련 의혹을 제기하는가 하면 조국 수석 사퇴를 촉구하는 등 전방위 공세를 계속했다.

윤영석 한국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김태우 수사관 비위 의혹 건, 민간인 불법사찰 고발 건, 청와대의 김태우 전 수사관 고발 건이 대검, 동부지검, 수원지검으로 배당되어 쪼개기 수사를 시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은 "민정수석은 '맞을 짓'을 하면 안 되는 자리다. 국정운영은 실험의 대상이 될 수 없다"라며 "특감반 사태의 책임자인 조국 수석은 '정면돌파'가 아니라 '전면사퇴'가 필요해 보인다"라며 날을 세웠다.

양당 대표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김병준 한국당 비대위원장은 "권력을 운영하는 분들이 그러면 안 된다. 기본적인 자질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국민들은 적폐청산 위장개혁의 상징인 대통령의 핵심 측근을 대통령 자신이 우는 마음으로 내치는 진정한 쇼를 보고 싶어한다. 그 징표가 조 수석을 자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3당 원내대표 회동은 운영위 소집에서부터 막혀 현안 논의에 진전을 보지 못하면서 27일 본회의에 상정할 법안이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다.

민주당은 야권의 국회 운영위 소집 요구에 공식적인 대응을 하지 않으면서 연말까지 신경전이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청와대와 보수야권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비리 범죄 행위자가 제기한 문제를 가지고 국회 운영위를 열어서 진실을 밝히는 것도 아니고 뭘 기대하고 그런지 모르겠다"며 "운영위는 언젠가 열테니 대검찰청과 감찰반에 대한 수사의 진전 상황을 보고 하자"며 보수 야당의 요구에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서울=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