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02월 07일(목) 16:56 |
광주시와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31일 연간 10만 대 규모의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을 생산하는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4년 넘게 끌어온 광주형 일자리 사업 추진을 위한 첫 단추를 끼운 것이다. 그러나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하려면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무엇보다 광주형 일자리의 핵심인 완성차 공장의 지속가능성이 담보돼야 한다.
광주시와 현대차가 각각 1·2대 주주로 참여하는 완성차 공장 합작법인은 오는 2021년 하반기에 경형 SUV를 생산할 예정이다. 문제는 국내 경차 시장이 포화 상태라는 점이다. 2021년에는 친환경 자동차가 대세가 될 텐데 경형 SUV가 사업성을 유지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하다. 다행히 광주의 완성차 공장 근로자들의 임금이 적정화돼 있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런 이점을 십분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제대로 펼쳐 경형 SUV로 수익을 내는 구조를 만들고 수출을 확대해야 한다. 경형 SUV 외에도 신모델을 계속 투입하고 나아가 친환경 차종 라인으로 전환하면 광주형 일자리는 안착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연구와 품질 기능을 담당할 전문 인력 확충도 시급하다.
노동계의 반발도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다. 민주노총과 현대자동차 노조는 국내·외 자동차 시장 환경에 맞지 않는 사업을 추진하려 한다며 광주형 일자리를 추진하고 있는 정부와 광주시를 맹비난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일자리가 없어 고통받고 있는 청년들의 현실을 되돌아봐야 한다. 특히 광주형 일자리의 초석을 다진 한국노동연구원 박명준 수석전문위원의 '일침'을 새겼으면 한다. 그는 한 매체와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노동조합이 노동시장에 이미 진입한 사람, 그중에서도 정규직으로 진입한 사람들의 이익을 증진하는 역할에 집중했다면 이제 사회적으로 노동시장 진입의 기회 자체를 넓히는 데에도 인식을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근 민주노총의 이기주의에 대한 비판이 많은데, 울림이 큰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