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상원열사 일대기 담은 수묵화 그림 나왔다
하성흡 작가, 광주 광산 용역에 선정… 지난해 9월부터 작업||5·18에 대한 부채의식 전통기록화로 담게 된 계기
2020년 03월 31일(화) 17:27 |
![]() 2일 공개되는 하성흡 작가의 '윤상원 열사 일대기'를 담은 작품 '부활'. 하성흡 작가 제공 |
작업을 맡은 하 작가는 1980년 5·18 당시 고등학교 3학년이었다. 그는 항쟁 중심지였던 금남로 옆 장동 한옥(현재 작업실)에 살며 계엄군의 무자비한 만행을 수차례 봤다. 항쟁 초기부터 거리로 나가 투쟁했고, 5월26일까지 민족민주화대성회와 민주수호 범시민궐기대회에까지 참여했다. 하지만 26일 밤 전남도청으로는 향하지 못했다. 죽음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하 작가는 "27일 새벽 '계엄군이 쳐들어오고 있습니다. 시민 여러분 우리를 지켜주십시오'라는 애절한 방송을 들으며 눈물을 쏟았다"며 "윤 열사를 비롯한 항쟁 지도부가 도청에서 최후의 항쟁을 벌일 때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는 부끄러움과 죄책감, 부채 의식이 가슴 깊이 자리 잡았다"고 회상했다.
그 부채의식 때문에 1980년 5월은 '계속되는 현재'로 남아 있다. 전남대 미술교육과 재학시절인 1990년에는 5·18을 다룬 첫 벽화 밑그림을 그렸고, 이후 화가의 길을 걸으면서도 5·18 관련 한국화를 50여점 그렸다. 그가 발표한 '발포', '박승희 장례행렬도'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작품들은 1980년 5월21일 광주 동구 금남로 가톨릭센터 앞에서 일어난 집단발포 현장이 고스란히 기록돼 광주항쟁의 역사를 예술로 승화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윤상원 열사 일대기 제작'은 518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된 하 작가의 또 다른 도전이다.
하 작가는 "윤 열사는 광주시민이 가진 뜻을 가장 깊이 이해하고 실천한 사람"이라며 "이번 일대기 제작을 통해 더 공정하고 민주적인 사회로 진일보하는 화가로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윤 열사의 일대기는 100호 크기의 한지에 연필로 작업됐다. 성장과정에서부터 옛 전남도청서 산화할때까지 △일기 △방황 △외교관 △노동자 △분노 △광주의 입 △발포 △대변인 △죽음 △부활 등 10가지 주제에 윤 열사의 삶을 담았다.
밑그림까지 완성된 하 작가의 작품은 중간보고회에서 공개된 이후 채색 등 후반 작업을 거쳐 올해 말 제작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광주 광산구 관계자는 "윤 열사는 518을 상징하는 인물"이라며 "열사의 일대기를 작품으로 남겨 유품과 함께 전시해 민주, 인권, 평화라는 가치를 계승하고 보존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윤 열사의 일대기 작품은 생가 주변인 광주 광산구 신룡동 건립 예정인 '윤상원 민주커뮤니티센터'에 전시될 계획이었으나, 해당 지역 주민의 반대로 무산위기에 처해있다. 광주 광산은 주민설명회를 거쳐 기부채납 조건으로 윤 열사 기념시설 건립 당위성을 설득하고 있으며, 대상 부지 또한 원점에서 다시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