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4월 04일(월) 16:36 |
일본 정부의 교과서를 통해 부정적인 역사를 지우고 왜곡하는 일이 올해도 이어졌다. 지난달 29일 일본 문부과학성이 발표한 교과서 검정심의회를 통과한 역사교과서에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노동자가 강제연행이 아닌 동원으로 서술됐다. 또한 1993년 일본 정부가 군 위안부 문제로 공식 사과한 고노 담화에 등장한 종군위안부 표현은 아예 사라졌다.
일본 정부의 지속적인 역사 세탁 시도는 참으로 개탄스럽다. 아베 총리 집권 이후 '강제연행은 없었다'는 궤변을 이어가던 일 정부는 급기야 교과서에 군의 개입을 부정하고 나선 것이다. 당시 군대를 통한 강제 동원의 사실을 증언하고 있는 우리나라 피해자들의 경험과 증언이 분명하게 있고, 피해자들이 두눈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는데도 역사 왜곡을 서슴지 않는 후안무치에 기가 막힐 따름이다.
일본의 역사 왜곡에 맞서 피해자들의 아픔과 눈물을 미래 세대에 제대로 전승하기 위한 기억 투쟁을 지금 서둘러야 하는 이유다.
때마침 4일 사단법인 일제 강제동원시민모임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제 강제동원 시민역사관 건립을 광주시장과 전남도지사 출마자들에게 공약 반영을 촉구해 관심을 모은다.
광주·전남은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대일 항쟁의지와 권리 의식이 높아 일본정부와 전범기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에 나서 성과도 있었다. 고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장이 수집한 각종 소송 원고 진술서, 활동사진, 영상물을 비롯한 수천점에 이르는 기록물은 대일 투쟁과정의 역사적 정신적 자산이다. 이 귀중한 자료가 마땅한 보존 장소를 찾지 못해 허름한 사무실 한켠에 먼지만 수북이 쌓여있는 현실은 안타깝다. 강제동원 투쟁을 담은 지역사회의 소중한 자산이 타지역으로 나가는 것은 지역민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는 일이다. 제대로 된 역사관을 조성해 일본의 강제 노동 피해 관련 자료를 모아 명실상부한 역사교육장으로 활용되도록 해야 한다. 지금까지 시민 단체 노력으로는 명백한 한계가 있었던 만큼 이젠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