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92-1> “유적 발굴·체계적 연구로 광주 마한사 재조명을”
광주 ‘취락문화’ 위주 유적 산재
국가사적 신창동 발굴 30% 그쳐
정부, 고대사 연구 ‘가야사’ 치중
“전담기관 설립·예산 지원 필요”
2023년 03월 26일(일) 18:52
광주시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된 광주 광산구 월계동 장고분. 나건호 기자
고대 연맹국가 ‘마한’은 기원전 대체로 기원전후부터 6세기까지 경기·충청·전라도 지방에 분포한 54개의 소국 연맹체로 한강 이남을 중심으로 독자문화를 유지해 왔다. 광주·전남은 4세기 백제에 복속된 다른 마한 지역과 달리 6세기까지 독자세력을 유지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마한의 중심지였던 광주지역 마한사 연구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국가 차원의 관심 부족과 더딘 발굴작업,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광주 내에 산재한 마한 유적도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전담 기관 설립과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광주지역 마한사 재조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2021년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 마한 관련 발굴조사유적은 총 295건에 달한다. 유적 중 전남은 213건, 광주는 82건이다. 광주의 발굴유적은 주로 ‘취락문화’인 반면 전남은 ‘고분문화’ 형태인 게 특징이다.

국립나주박물관 및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등의 발굴·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타 지역 역사문화권과 비교할 때 광주·전남 마한사 발굴·연구는 저조한 수준이다. 특히 같은 시기의 고대역사문화권인 가야사와 비교하면 마한은 상대적으로 소외됐다는 지적이다.

문재인 정부는 가야사 연구·복원을 100대 국정과제로 삼았다. 관련 예산만 1조700억원 규모였다. 가야권 복원은 김대중 정부 때 ‘가야사 1단계 정비 사업(사업비 1290억원)’을 통해 본격 진행됐다. 노무현 정부의 가야사 2단계 정비사업은 토지매입 비용 등 예산 부족 등으로 중단됐다가 문재인 정부 때 대폭 확대됐다. 특히 가야권은 경남·경북·전북 등 3개 광역단체, 김해·함안·합천·고령·고성·창녕·남원 등의 7개 기초단체를 중심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가야권엔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경남 창원), 국립가야역사문화센터(경남 김해) 등의 가야사 전담 국가기관의 발굴·연구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반대로 광주·전남의 마한사는 국립나주박물관,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등이 유적 발굴·연구에 나서고 있지만 가야권과 달리 마한권은 전담 국가기관이 없는 등 가야사에 비해 상당 수준 뒤처진 상황이다.

가야권과 마한권 연구 예산도 4배의 격차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국회의원은 국립중앙박물관의 영호남 고대문화를 대표하는 가야사와 마한사간의 국가예산 차이를 지적한 바 있다. 이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가야권의 최근 3년간 연구·전시예산은 63억7000만원인 반면 마한권의 예산은 16억원에 그쳤다.

특히 마한권 가운데 광주지역 마한 유적 발굴 실적이 매우 저조하다. 광주 마한 유적지 중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375호’인 신창동 유적의 경우 1963년 첫 발굴 이후 60년간 발굴조사는 28회에 그쳤다. 1992년부터 발굴조사를 주도한 국립광주박물관의 정책변화로 2015년 이후로 이마저도 중단됐다.

현재 신창동 유적지(면적 26만715㎡)의 30% 가량만 발굴조사가 진행됐다.

더욱 심각한 건 광주지역에 산재된 마한의 흔적들이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인해 멸실되거나 훼손되고 있다는 점이다.

‘국가사적’인 신창동은 발굴 당시 마한의 가장 오래되고 최초의 자료인 농기, 칠기, 악기, 무구, 수레바퀴, 볍씨층 등이 출토됐음에도 유적지를 관통하는 호남고속도로, 광주~장성간 국도로 훼손이 심각하다. 일부 문화재도 경작·사유지라는 이유로 훼손이 진행 중이다. 발굴조사로 확인된 동림동 유적 상당수도 택지개발로 인해 사라졌다.

광주 마한 유적의 체계적인 발굴·연구를 위한 전담기관 설립 필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문화재청이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 건립 추진에 나섰다.

광주시 관계자는 “마한 역사문화권 발굴·연구는 가야권과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소외돼 있다. 지역 내 마한 유적 등을 발굴·연구할 전담 국가기관 설립과 예산 지원이 시급하다”며 “광주에 국립마한역사문화센터가 들어설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김성수 기자 seongsu.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