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사설>반도체 특화단지 광주·전남에 유치해야
균형발전·탄소중립 등 최적지
2023년 07월 13일(목) 17:17
정부의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을 1주일 앞두고 광주시와 ·전남도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14일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용산 대통령실을 찾아 광주·전남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를 함께 요청할 계획이다. 반도체 특화단지가 광주·전남에 들어서면 수도권 중심에 따른 사회적 기회비용을 줄이고, 국가 균형발전도 이끌 수 있다. 광주와 전남이 특화단지로 지정돼 첨단 반도체 산업을 이끄는 신 거점으로 성장하길 기대한다.

정부는 오는 20일 ‘제3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를 열고 반도체 특화단지를 선정 발표할 예정이다. 산업을 넘어 경제와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 물자인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하기 위한 자치단체간 경쟁도 치열하다.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 1호 협력사업으로 광주 북구 첨단 1·3지구 일대에 ‘시스템반도체용 차세대 후공정(패키징) 특화단지’ 조성 계획서를 산업부에 제출하는 등 전국 지자체 15곳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고 있다.

광주·전남에 반도체 특화단지를 조성해야 하는 당위성은 충분하다. 광주·전남은 인재와 인프라가 갖춰진 차세대 첨단 전략산업 육성의 최적지다. 풍부한 재생에너지와 한빛원전 전력 등을 통한 에너지 융합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에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용수와 전력 등 기반 시설도 견고하다. 특히 전국 최고 수준인 해상풍력발전 잠재량과 태양광발전 등은 탄소중립이라는 인류의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문제점인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고 지방시대를 실현한다는 의미도 크다.

반도체특화단지 조성은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 공약이다. 광주와 전남은 인구감소와 산업 인프라 낙후 등으로 획기적인 첨단전략산업이 없을 경우 소멸위기에 놓여 있다. 광주시와 전남도, 지역 정치권은 앞으로 남은 1주일, 반도체 특화단지가 지역에 유치될 수 있도록 지역 역량을 모두 모아야 한다. 국토균형발전이라는 가치, 탄소중립이라는 인류의 염원을 실현시키기 위한 정부 차원의 관심도 필요하다. 지방이 살아야 나라가 산다는 단순한 명제를 되새겨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