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류 철회하라”… 지역 시민단체 등 거센 반발
“핵오염수 위험성 낮아” 주장에
시민들 “정부·日 무책임” 비판
“취소 안하면 집단행동 나설 것”
시민들 “정부·日 무책임” 비판
“취소 안하면 집단행동 나설 것”
2023년 08월 22일(화) 18:22 |
![]() 일본이 핵 방사성 오염수 방류를 결정한 22일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 저지 광주·전남공동행동이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을 향한 오염수 방류 결정 철회와 대한민국 정부의 적극적인 저지 활동을 촉구하고 있다. 김양배 기자 |
22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관계 각료 회의를 열어 ‘이르면 24일부터 오염수 방류를 시작하겠다’고 밝히자 광주·전남 시민단체는 곧바로 해당 결정을 규탄했다.
이날 일본방사성오염수해양투기 저지 광주·전남 공동행동(공동행동)은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 기시다 내각이 국제적 핵 재앙의 안전핀을 뽑고 말았다”며 “당장 핵오염수 방류 결정을 철회하라”고 호소했다.
공동행동은 성명서를 발표하며 과거 러시아 해군이 핵잠수함에서 쓰던 핵폐기물 투기 사건을 언급해 내로남불식 일본의 태도와 국제사회의 침묵을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30년전 옛 소련과 러시아 정부가 핵폐기물을 더이상 지상에 둘 수 없게 돼 동해에 투기하자 일본 정부가 러시아를 성토하며 국제사회에 호소한 상황이 주어만 바뀐 채 다시 재현되고 있다. 당시 G7은 세계 전체의 문제이며 자국환경에 대한 심각한 사태로 규정하고 공동 대응을 결의하기까지 했다”며 “하지만 한국 정부와 미국 바이든 정부, G7, 국제원자력기구(IAEA)까지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를 최소한 묵인하거나 적극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일본 내각에 면죄부를 줬다”고 설명했다.
또한 공동행동은 “60년이 될지 수백년이 될지 모를 핵오염수 해양방류로 인류는 기후위기 뿐만 아니라, 방사능 오염의 위험과 우려 속에서 생활해야 한다. 일본 정부는 핵오염수의 매우 낮은 확률의 위험성을 주장하지만, 낮은 확률의 그 누군가는 피폭(방사능 노출)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며 “더이상 자연과 인류의 안전은 확률로 결정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공동행동은 마지막으로 “일본 기시다 내각이 오염수 방류 결정을 취소하지 않으면 국민들과 함께 일본의 핵오염수 해양 방류 저지를 위해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다”고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상당수의 지역민들도 오염수 방류를 지지한 한국 정부의 외교적 태도를 문제삼거나 향후 한국 수산업까지 미칠 악영향에 불안감을 드러냈다.
광산구 신창동에 거주하는 김모(58)씨는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거리에 쓰레기를 무단으로 투기하면 안된다는 사실은 어린아이도 아는 상식이다. 그런데 인류의 공공유산인 바다에 오염수를 배출시킨다는데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모르겠다”며 “게다가 일본이 그 피해를 책임지겠다는 어떤 약속도 없는데 우리 정부는 무슨 생각으로 오염수 방류를 지지하는 건지 알 수 없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김경민(25)씨 또한 “평소 일회용기 사용을 자제하면서 바다로 유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을 줄이는 노력을 해왔지만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결정 한 방에 바다가 오염될 것을 생각하니 화가 난다. 하물며 일본은 섬나라인데도 바다를 쓰레기장으로 취급하는 것 같아서 화가 난다”며 “일본도 일본이지만 아무 저항없이 받아들인 한국 정부의 모습도 황당하다”고 말했다.
동구에서 해산물 식당을 운영하는 박모(51)씨는 “주로 손님들이 낙지요리를 찾는다. 제일 신선하고 맛있다는 가을낙지를 팔 시기가 왔지만 이번에 일본 오염수 방류 때문에 손님이 끊기는 건 불 보듯 뻔하다”며 “일본 어민들도 그것때문에 강하게 반대를 하는데 우리 정부는 문제가 없다고만 한다. 그 말을 누가 믿겠나”라고 토로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오염수 방류 계획상의 과학적·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며 “다만 이같은 판단이 오염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김혜인 기자 hyein.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