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정율성 사업, 이념 아닌 실용적 판단해야"
"지자체 고유 자치사무…명할 수 없어"
외교·교역 위한 것…항일투쟁 조명해야
외교·교역 위한 것…항일투쟁 조명해야
2023년 10월 16일(월) 14:46 |
![]() 문화와 역사를 지키는 시민모임은 16일 오전 11시께 광주 남구 양림동 정율성로 입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율성 기념사업에 대해 ‘이념 논쟁을 중단하고 실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와 역사를 지키는 시민모임 제공 |
문화와 역사를 지키는 시민모임(시민모임)은 16일 오전 11시께 광주 남구 양림동 정율성로 입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주장했다.
시민모임은 “광주시의 정율성공원 추진 사업은 중국과의 외교 및 교역을 위해 노태우정권이 시작하고 김영삼정권이 부추긴 역사성과 당위성을 갖춘 지역 사업이며, 지방자치단체의 고유한 자치사무다”며 “현 정부의 입맛에 따라 지방정부에 함부로 이래라 저래라 명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또 이들은 이념이 아닌 정율성 사업의 관광자원 측면과 항일투쟁 이력을 주목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시민모임은 “광주는 관광산업이 취약한 도시다. 재정자립도 또한 서울, 부산 그리고 5개 광역시 중에서 가장 낮을 정도로 경제적으로 열악한 광주에 그나마 중국 관광객이 찾아오고 있다”며 “광주에 정율성 선생의 흔적이 있기 때문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율성의 이념이 문제라면서 친일파 반공주의자들을 비호하는 왜곡된 현실도 받아들일 수 없다”며 “광주에 생가가 있는 정율성 가족은 무척 어려운 형편 속에서도 두 형이 항일운동에 뛰어들었다가 목숨까지 잃었다. 그 영향으로 정율성도 셋째 형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졸업하고 비밀리에 항일투쟁을 펼쳤다고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광주 정율성 기념사업은 결코 이념 때문에 시작된 것이 아니다. 광주 경제를 이해한다면 실용적 잣대로 판단해 주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해서 박민식 국가보훈부장관 등에 △정율성 사업에 대한 이념 논쟁을 당장 중단할 것 △정율성 사업을 경제와 국제 외교의 관점으로 판단할 것 △정율성 사업을 광주시에 맡길 것 등을 촉구했다.
강주비 기자 jubi.ka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