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군, 4년 만에 인구 반등…체계적 '인구정책' 성과
내 고장·내 직장 주소 갖기 운동 등
자녀 1인 최대 1억1893만원 지원
청년공공임대주택·만원주택 조성
"군민체감 정책 지속 추진 노력"
2025년 05월 14일(수) 11:41
진도군청. 진도군 제공
4년 넘게 줄곧 감소하던 전남 진도군의 인구가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순증세로 전환됐다. 단순 유입을 넘어 ‘정주 여건 개선’에 초점을 맞춘 인구정책이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

14일 진도군에 따르면 2020년 12월 이후 매달 평균 58명씩 감소하던 군 인구는 2025년 3월 말 기준 전월 대비 9명 증가했고, 4월에도 1명이 늘어나면서 4년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군은 이를 올해 들어 본격 추진한 ‘내 고장·내 직장 주소 갖기 운동’과 출산·보육·주거·일자리 등 다양한 생활 여건 개선 정책의 결합 효과로 분석하고 있다.

‘내 고장·내 직장 주소 갖기 운동주소 갖기 운동’은 관내 주민과 기관·단체·사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생활 기반 주소 이전 캠페인으로, 현재까지 육군 제8539부대, 진도교육지원청, 진도소방서, 국립남도국악원 등 11개 기관이 릴레이 형식으로 동참해 실거주지 주소 전환 분위기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군은 출산율 제고와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한 전국 최고 수준의 지원책도 추진 중이다. 첫째아 1억743만원, 둘째아 1억843만원, 셋째아 이상 1억1893만원 등 자녀 1인당 최대 1억1893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이 정책은 출산장려금부터 , 출생기본수당, 입학축하금, 청소년 쿠폰(바우처), 고등학생 해외연수, 대학 신입생 장학금까지 총 15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돼 있어 양육부담 완화와 출산을 유도하고 있다.

청년층의 주거 안정에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전남형 1만원주택 60세대, 청년공공임대주택 18세대, 간호·복지 인력 기숙사 30세대 등 다양한 청년층 맞춤형 주거공간 조성이 한창이다.

청년의 안정적인 소득 기반 마련을 위해 희망일자리 지원, 근속장려금,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사업 등 창의적이고 지역자원을 활용한 일자리도 적극 발굴·지원하고 있다.

외부 인구 유입의 확대를 위한 귀농·어·촌인 정착 지원도 체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예비 이주자들이 일정 기간 진도에 머물며 일자리와 생활 여건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진도에서 살아보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사업은 2~3개월 동안 거주가 가능한 체험 공간을 제공한다.

중기 정착단계에는 귀농인의 집 7개소를 운영해 6개월에서 최대 9개월까지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월 10만원에서 12만원의 저렴한 임대료로 주거가 제공되어 초기 정착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유휴 빈집을 리모델링한 ‘보배섬 하우스’를 올해 하반기부터 운영할 예정이며, 월 1만원의 임대료로 최대 2년까지 장기 거주할 수 있도록 설계해 실거주 기반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이 밖에도 농가주택 수리비, 이사비, 영농·어업 자재, 창업 및 주택 구입 융자 지원도 병행하는 등 단계별 정착 로드맵이 마련돼 있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농공단지 활성화에도 힘쓰고 있다. 군내 농공단지는 지난해 농수산식품가공업 9블록이 모두 분양 완료돼 기업 입주를 신속히 지원 중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 유입을 촉진할 계획이다.

고군농공단지는 산업통상자원부 공모 선정으로 총 86억 원이 투입, 도로·야간경관 정비 등 환경개선이 진행 중이다. 인근에는 청년문화센터가 조성돼 기숙사, 공동세탁실, 체력단련실, 취·창업 보육센터 등의 기능을 갖춰 근로자와 청년 정착을 유도하는 정주 플랫폼이 될 전망이다.

진도군 인구정책실 관계자는 “군의 인구정책은 단순한 유입 숫자가 아닌, 지역에서 살고 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며 “군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통해 인구 증가세를 이어가고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밝혔다.
진도=백재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