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원들 “발포 명령자 밝혀야…5·18 정신 헌법에 담아야”
2025년 05월 16일(금) 11:24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3일 앞둔 15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뉴시스
광주시의회가 5·18민주화운동 제45주년을 맞아 발포 명령자 규명과 행방불명자 진상 확인,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촉구하고 나섰다.

광주시의원들은 16일 입장문을 내고 “5·18은 끝나지 않은 역사이자, 지금도 우리에게 숙제를 던지는 살아있는 정신”이라며 “그날의 진실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시의원들은 “누가 발포를 명령했는지, 행방불명자들이 어디에 묻혀 있는지도 여전히 확인되지 않았다”며 “정의는 실현되지 못했고 진실은 침묵 속에 가려져 있다”고 지적했다.

또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는 그날의 참혹함을 침묵과 외면으로 전했다”며 “소년은 묻는다. ‘왜 우리는 죽어야 했는가’. 이 질문에 우리는 아직도 답하지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45년 전 시민들의 저항은 불의에 맞선 정의였고, 그 피와 눈물은 오늘날 민주주의의 토대가 됐다”며 “5·18정신은 과거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비추는 등불”이라고 밝혔다.

광주시의회는 “역사 왜곡과 폄훼를 막고, 헌법 전문에 5·18정신을 명시해야 한다”며 “남은 과제를 해결하고 오월의 가치를 계승·발전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성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