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범정부적 결단 필요한 금호타이어 화재
위기극복 위해 신속 지원 해야
2025년 05월 19일(월) 17:12
광주광역시와 광산구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발생한 피해 복구를 위해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잇따라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복구를 위해서만 최소 수개월 이상 공장 가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피해 규모는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피해 최소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촉구한다.

물적 피해를 제외하더라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의 손실은 엄청나다. 당장 임직원과 지원, 협력업체 등 직원만 2400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 어룡동과 송정1·2동 , 도산·신흥동 등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인근 주민도 7만여 명이 직·간접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고용불안도 걱정이다. 이번 화재로 광주공장의 3분의 2가 전소됐고, 수개월간 공장가동은 중단될 수 밖에 없다. 언제 재가동이 이뤄질 지도 예측하기 어렵다. 복구가 장기적으로 지연될 경우 지역경제에 미치는 악영향도 예측하기 어렵다. 피해 규모만으로도 법에 규정된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사회적 재난으로 충분하다.

이런 피해를 지자체의 힘만으로 대응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광주시와 광산구도 지방세 납부유예와 공공요금 감면 등 간접 지원이 가능하도록 범정부차원의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도로, 보도 등 공공시설에 대한 복구비와 화재 진화 투입장비 임차 등을 위한 특별교부세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당분간 일터를 잃게 될 처지에 놓인 근로자와 회사측을 위해 고용위기지역 지정도 절실하다. 고용위기지역은 고용정책 기본법에 따라 고용사정이 현저히 악화되거나 급격한 고용 감소가 확실시 되는 지역을 지정해 고용안정과 일자리사업 등을 집중지원 한다.

지금 이 시간에도 지자체는 화재진압과 차후 대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고용불안의 위기에 내몰린 임직원과 주민들의 처지도 마찬가지다. 정부는 하루빨리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함께 고용위기지역을 지정해 신속한 구호와 복구를 진행한 뒤 근로자 해고 등 최악의 경우에 대비해야 한다. 지금은 ‘광주의 위기’다. 신속하고 과감한 정부의 결단이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고통에 시달리는 주민을 돕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