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활개치는 ‘노쇼사기’ 반드시 뿌리 뽑아야
신뢰 악용한 범죄 방치 안돼
2025년 05월 21일(수) 17:02 |
최근 광주·전남에서 기승을 부리고 있는 ‘노쇼 사기’는 이처럼 사회적 긴박함과 신뢰를 교묘히 악용하는 범죄로, 더는 방치해선 안 된다. ‘노쇼 사기’는 단순한 예약 부도와는 차원이 다르다. 사기범들은 군부대, 자치단체, 선거캠프, 소방서 등 공신력 있는 기관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넣고, 업주가 준비에 착수하면 물품을 대신 구매해 달라며 특정 계좌로 돈을 송금하게 유도한다. 이후 연락을 끊고 사라지는 전형적인 전화금융사기 수법이다. 선거, 화재, 국가기념일 같은 사회적 이슈를 교묘히 끌어들여 의심을 줄이고 신뢰를 심는 것도 공통된 특징이다.
광주·전남 경찰에 따르면, 이 같은 방식의 노쇼 사기는 올해 들어 광주에서만 84건, 전남에서도 10건 이상 접수됐다. 대부분 최근 2개월 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금액도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에 이르러, 자영업자 입장에선 심각한 타격이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사기가 지역 상권 전반에 불신과 위축을 불러온다는 점이다. 선결제 시스템이나 보증금 제도 등을 도입하자니 고객과의 관계가 위축될까 두렵고, 무방비로 대응하자니 같은 피해가 반복될 우려가 높다. 결국 피해는 고스란히 소상공인의 몫으로 돌아간다.
소상공인은 지역경제의 허리다. 더욱이 대다수 소상공인은 고물가에 고금리, 소비위축까지 3중고에 허덕이고 있다. 사회적 신뢰를 교란하는 사기 수법은 단호히 뿌리 뽑아야 한다. 회복 중인 골목상권에 더 이상 눈물의 피해자가 생기지 않도록, 제도와 공공의 의지가 함께 작동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