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여수형 기본소득’ 실현 추진 전략 마련
새 정부 공약 관련 정책 건의도
2025년 07월 06일(일) 15:25
지난 2일 여수시청 회의실에서 ‘여수형 기본소득’ 실현을 위한 용역 중간보고회 개최되고 있다. 여수시 제공
전라남도 여수시가 최근 ‘여수형 기본소득(사회) 모델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개최하고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정책 방향과 재원 조달 방안 등을 논의했다.

6일 여수시에 따르면 이번 용역에서는 인구 감소 등 지방이 당면한 위기 속에서 지자체가 주도하는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방안을 연구했다.

용역사 측은 △기후·에너지 연계형 통합기후배당 △청년기본소득 ‘섬섬 청년소득(가칭)’ △도서지역 수요응답형(DRT) 교통 체계 구축 △모바일 기반 노인 통합 돌봄 시스템 마련 △여수국가산단 폐열 활용 지역난방 △시민 금융주치의 제도 도입 등 8개 기본사회 모델을 제안했다.

토론에서는 여수형 기본소득 및 기본사회 모델의 실현 가능성과 향후 실행 전략에 대해 폭넓게 논의됐으며, 특히 실현 가능성과 지속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 등 현실적 방안 마련이 주문됐다.

앞서 시는 저출산·고령화와 지역 경기 침체, 청년 인구 유출 등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사회 실현 방안을 고심해왔으며, 이번 용역을 통해 ‘여수형 기본소득’ 실시를 위한 전문가 검토와 법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또 아동수당 및 농어촌 기본소득 확대를 공약한 새 정부의 움직임에 발맞춰 지속 가능한 여수형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제도 개선 및 국비 지원 등 구체적인 정부 건의안도 발굴할 예정이다.

정기명 여수시장은 “기본사회 실현은 지방 중소도시에 단순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민생과 직결되는 생존 전략”이라며 “지속 가능하고 실현 가능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 모두와 머리를 맞대겠다”고 밝혔다.
여수=이경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