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국립공원은 산불로부터 안전한가?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취재수첩
광주·전남 국립공원은 산불로부터 안전한가?
오선우 사회부 기자
  • 입력 : 2019. 12.05(목) 13:32
  • 오선우 기자
오선우 사회부 기자.
지난 4월 '강원 산불'을 모두가 기억할 것이다. 산불 확산 원인으로 꼽히는 '양강지풍(양양과 강릉 사이에서 부는 바람)'은 '불을 몰고 온다'고 해서 붙은 화풍(火風)이라는 별칭처럼 최대 순간풍속 초속 35.6m로 인근 야산을 순식간에 덮쳤다.

설상가상으로 불똥이 수백 m씩 날아가 옮겨붙는 비화(飛火) 현상까지 겹치면서, 신고 접수 10여 분 만에 진화 장비와 인력이 투입됐음에도 초기 진화에 실패했다. 1시간도 채 되지 않아 속초 도심과 해안으로까지 번졌고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령까지 내려졌다. 정부와 지자체, 소방당국과 국민의 협력으로 신속히 진화된 편이지만, 대한민국에 팽배한 화재 안전불감증을 다시 한 번 꼬집은 계기가 됐다.

그렇다면 건조하고 바람 부는 날씨는 봄에만 해당할까? 가을과 겨울도 빠지지 않는다. 여름이라고 안전하겠는가.

2017년 11건이었던 전국 여름철 산불은 2018년 73건으로 대폭 늘었다. 이에 국립공원공단은 예비비까지 투입해가며 산불 감시원 고용을 대폭 늘렸다. 180~200여 명 수준이던 고용을 580여 명으로 세 배 늘린 것이다.

밤낮없는 감시·순찰 활동과 흡연·취사 등 화재 위험 행위를 통제한 결과 올해 여름철 산불은 18건으로 다시 줄어들었다.

그러나 공단에 돌아온 것은 감사와 국회의원의 질타·지적뿐이었다. 예비비를 과다 지출해 국가재정법을 위반했으며, 1~2개월 단기 계약 확대로는 고용 증대 효과를 봤다고 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단기 계약마저도 절실한 이들이 있다.

"나이 먹고 돈만 축내며 놀면 뭐하나. 조금이라도 몸 성할 때 용돈 벌어야지."라는 어르신들에게는 이마저도 아쉽다.

올해는 산불 감시원 고용이 감소해 200여 명도 되지 않는다. 광주·전남은 내장산백암사무소가 작년 12명에서 올해 1명, 광주무등산사무소는 24명에서 1명, 전남무등산사무소는 16명에서 올해 한 명도 뽑지 않았다.

반면에 내장산은 지난해 12건이었던 화재 과태료 부과가 올해는 11월까지 26건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날씨도 걱정인데 탐방객들의 낮은 의식 수준까지 겹쳐 인재((人災)에 의한 산불까지 걱정되고 있다.

수백 ㎞에 달하는 탐방로 순찰에는 수십 명도 부족한데, 고작 1명이거나 이마저도 없는 곳이 수두룩하다. 턱없이 부족한 감시 인력 구멍을 메꿔보려 공단 직원들이 직접 시간을 쪼개 순찰을 나서야 하는 상황도 아이러니다.

아래쪽 동네라고 산불로부터 자유로운 게 아니다.

화마가 닥쳐오는 데도 예산 부족이라며 몸 사리는 정부, 돈만 세며 과다 지출 지적하는 국회의원들은 정신 차려야 한다. 산불 감시원 고용비 아끼다가 2005년 양양 산불처럼 천년고찰 낙산사가 날아가는 수가 있다. 무등산 증심사가 불타 없어져도 정부나 국회의원이 다시 되돌려줄 수 있는가?

오선우 기자 sunwoo.oh@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