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과학 관점에서 본 우리 유물들의 진면목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디자인·과학 관점에서 본 우리 유물들의 진면목
  • 입력 : 2020. 09.17(목) 15:06
  • 박상지 기자
한류 미학

최경원 | 더블북 | 2만5000원

만듦새의 정교함만을 기준으로 놓고 보자면 우리 문화가 소박하다,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지만 통일신라나 고려의 유물들을 살펴보면, 소박하기는커녕 제작의 완성도가 동시대 일본이나 중국의 유물들과 비교할 때 더 뛰어난 경우가 많다. 조선 시대 문화도 당시 디자인이나 미술의 양식적 경향의 일관성을 놓고 보자면 일제 학자들의 조선 문화 낙후성 운운은 편견에 가깝다.

저자는 옛 유물을 접하고 보는 사람들이 모두 현대인이기 때문에 과학적이고 현대적인 관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책에서는 유물 형태의 경우에도 '구도'나 '비례', '대비'와 같은 현대적 조형 이론을 그림이나 도형으로 생생하게 보여줘 독자의 이해도를 한층 높여줌으로써 우리 유물의 '진면목'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이 책의 중요한 특징은 저자가 10여 년간 전국 박물관과 유적지를 발로 뛰어다니면서 작업한 수천 컷의 그림과 사진을 중심으로 유물들을 설명해 기존 문자 중심의 설명에 비해 훨씬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다.

선사시대 유물로 주거지의 잦은 이동에 따른 가성비 좋은 일회용품으로서 주먹도끼, 실용성과 디자인 측면에서 오늘날에도 적용하기 좋은 빗살무늬 토기, 청동기 시대의 신소재 무기인 청동검의 '대량생산'이라는 생산방식의 혁신을 위한 '형태의 표준화', '사회적 심미성'을 살펴본다. 고조선 멸망 이후 역사적 기록들이 부재한 삼한 시대에 대한 문화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유물인 토기에서 오늘날에 유행하는 추상성, 미니멀리즘, 모더니즘적 조형성이 구현되는 것으로 보아 삼한 사회의 지적, 문화적 축적이 상당했을 거라고 본다.

삼국 시대의 유물은 본격적으로 시대의 흐름을 담은 디자인과 양식적 경향의 일관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고구려의 유물을 통해 정치, 경제, 군사적으로 대국이었던 고구려가 문화적으로는 세련되지 못했을 거라는 일반의 상식은 여지없이 깨진다. 당대의 중국, 일본에 대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던 백제 문화는 고구려, 신라는 물론 주변 국가들에게 전파되는 이른바 한류 열풍을 불러일으킨다. 삼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사적 기록이 적은 가야국은 말 머리 뿔잔 장식 유물만 놓고 보자면 대외적으로 교류가 활발했을 거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신라와 통일신라 유물은 정교한 기술력과 럭셔리한 디자인은 현대 디자인 대가들의 작품과 견주어 볼 때 손색이 없을 정도다.

독자들은 우리 유물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고, 미술과 디자인에 대한 안목이나 지식을 보너스로 얻을 수 있다.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