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신방직 공장부지 개발 공공성 확보를"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전남·일신방직 공장부지 개발 공공성 확보를"
시민대책위원회 출범 활동 돌입 ||보존원칙·활용 기준 방향 제시||전방·일신방직 건축물 259동||화력발전소·고가수조 등 보존|| 광주시·사업자 협상 보며 대응 
  • 입력 : 2021. 01.20(수) 17:01
  • 박수진 기자
20일 광주 YMCA에서 전남·일신방직 부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 출범 기자회견이 열렸다. 시민대책위원회 제공
1930년대 일제강점기 수탈과 산업화시대의 역사를 고스란히 안고 있는 전방(옛 전남방직)·일신방직 광주공장 부지 개발시 공공성을 확보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들이 산재해있는 전방·일신방직 광주공장이 지난해 7월 부동산 개발업체에 매각되면서, 건축물이 대거 사라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광주시는 '전방·일신방직 공장 부지 전문가 합동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공익성을 담보한 개발 계획을 마련한다는 입장이지만, 개발 논리에 맞서 역사·문화적 가치가 있는 건축물의 보존을 사업자 측이 얼마만큼 수용할지가 미지수다.

전남·일신방직 부지 공공성 확보를 위한 시민대책위원회는 20일 광주 동구 YMCA무진관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시민대책위원회는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진보연대, 광주전남여성단체연합, 광주문화도시협의회 등 시민단체와 김덕진 광주교육대 교수, 조용준 조선대 명예교수, 박홍근 포유건축사 사무소대표 등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일제 강점기 여성 노동 착취와 산업화 과정의 여성 노동자들의 삶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있는 장소적 의미를 살려, 이를 기억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방향으로 보존·활용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더욱이 광주에 마지막으로 남은 근대산업유산으로 역사·문화·건축적 가치가 크다는 점을 고려할때, 도시재생을 통해 문화전당과 더불어 도시 발전의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대책위는 "전남·일신방직 부지는 일제 수탈의 아픔과 지역의 산업화를 견인한 역사가 교차하는 애증의 공간"이라며 "여성 노동자들의 삶과 흔적이 고스란히 스며있는 터이자 광주의 마지막 남은 근대산업 문화유산"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를 잊고 현재와 미래를 담보할 수는 없다"며 "해당 부지를 활용할 땐 무엇보다 공공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삼고 시민 참여를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전방·일신방직 부지의 가치를 시민들과 공유하고 미래세대를 위해 산업과 역사에 대한 체험 및 교육 공간 등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1935년 일본 방직업체가 설립한 공장이 모태가 된 전남·일신방직은 해방 이후 정부에서 관리하다 1951년 민영화됐다.

이후 전남방직은 2017년 말 가동을 중단했고, 일신방직은 현재까지 가동 중이다.

현재까지 전방·일신방직에 보존된 건축물 현황은 총 259동에 이른다.

1930년대 근대건축물 4동, 1950년대 22동, 1960년대 26동, 1970년대 30동, 1980년대 이후 203동 등이 그대로 남아있다.

이 중 1934년 일신방직 공장 건설 당시 철골구조로 지은 화력발전소와 고가수조(물 저장시설), 제 1·2 보일러실 등 근대 산업유산으로 상징성을 가진 기존 시설 일부 보존 방침을 내놓았다.

이 시설들은 한국전쟁 당시 공습과 화재, 철거 위기를 겪고도 원형을 상당부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밖에 1950년대 부터 1980년대 이르기 까지 역사적·문화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들의 보존은 개발 계획에 반영되지 않아 사라질 위기에 놓인 것이다.

전방·일신방직 공장은 마지막으로 지역에 남은 산업 자산으로서 높은 역사·문화적 가치를 볼 때, 이곳에 종사했던 여공들의 삶의 흔적이 남은 건축물로서 보존 가치가 크다는 것이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직원들이 세운 해방기념 국기 게양대 또한 광주 근·현대사의 애환과 숨결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이외에도 여공들이 생활한 건축물이 곳곳에 남아있어, 스토리텔링 하면 역사·문화적 보존 가치는 매우 높다는 평가다.

앞으로 대책위는 전방·일신방직 부지의 보존·활용 원칙 및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향후 광주시와 사업자의 협상 과정을 지켜보면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대책위는 "전방·일신방직 부지의 보존 원칙, 활용과 관련한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적극적인 대응과 활동을 전개할 것"이라며 "뜻있는 전문가들과 시민들의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박수진 기자 sujin.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