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우리음악의 요체는 '음양 조화로 완성하는 미학'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이윤선의 남도 인문학
이윤선의 남도인문학> 우리음악의 요체는 '음양 조화로 완성하는 미학'
대나무 장구(竹長鼓)의 출처||자웅(雌雄) 소리가 혼융||장구 음색과 음악 만들어||조화로움… 균형… 중용||담양 터-무늬는 대나무||죽장구 연원 추정 가능
  • 입력 : 2021. 08.05(목) 15:22
  • 편집에디터

담양 죽산매구 김종혁씨가 만들어서 활용하고 있는 대나무장구.

대나무 장구 소리가 유려하다. 몇 년 전이든가 담양에 들렀다가 들은 소리다. 날렵한 자세로 장구를 두드리는 춤사위가 곰삭았다. 무릎을 구부려 질겅질겅 스탭을 밟으니 소가 무논에서 쟁기질하는 모양이다. 굿거리다. 참새가 마당을 쪼르르 달리는 모양도 나온다. 휘모리다. 오금을 구부렸다가 폈다가 하는 동작들이 그침이 없다. 대삼 소삼이 어울리고 궁편 채편이 어울린다. 굵은 음이 잔 음을 에워싸며 교융(交融)한다. 왼쪽과 오른쪽이 혼융하고 큰것과 작은 것이 교섭하며 무거운 것과 가벼운 것이 견준다. 결이 다른 음들을 받아들이는 것뿐 아니라 스스로 낸 음마저도 다시 끌어안는다. 대나무로 만든 장구여서 그럴까? 그렇지 않다. 우리 음악 전반이 그렇다. 음악만 그러할까? 예컨대 활도 굽은 모양에 따라 밭은오금이 있고 한오금이 있으며 먼오금이 있다. 줌통(손잡이)으로 끌어 당긴 짧은 곡선을 밭은오금이라 하고 양무릎을 굽힌 듯 내민 부분을 한오금이라 하며 정강이로 내리는 부분을 먼오금이라 한다. 활의 줌피를 떠난 화살의 향방은 활대의 곡선이 지어내는 춤사위로부터 결정된다. 무릎의 춤사위와 연통하는 용어들이다. 대나무를 자기 땅의 터-무늬로 상정하는 담양이어서 그랬을까. 웅비하는 가락들이 병풍산을 에워싸고 추월산을 넘나든다. 필시 이 가락들이 용소를 지나고 수많은 용자(龍字) 돌림 영산강을 내달려 광활한 남도의 갯벌에 이르렀을 것이다. 궁금해진다. 죽장고의 출처.

진도 명량해협에서 인양된 청자모란넝쿨문장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요고(腰鼓)에서 청자장구(靑瓷鼓)까지

대나무로 만든 장구(長鼓)는 언제부터 만들어졌을까? 그것을 추적하기는 어렵다. 요고나 청자 장구처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확인한 적이 없다. 근자에 만들어진 것일까? 그것도 확답하기 어렵다. 광주시 지정 인간문화재 이복수 명인에 의하면, 오래전 담양에 들렀더니 일부 어르신들이 대나무로 장구를 만들어 사용하더라고 했다. 죽장고의 내력이 근자의 것만은 아니라는 뜻이다. 장구뿐 아니라 대나무로 만든 악기의 출처는 다양하다. 젓대(大笒)의 기원으로 삼을 만한 기록은 삼국유사의 만파식적(萬波息笛)이다.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해 감은사를 짓고 용이 출입할 굴을 뚫어 바닷가에 이견대를 지었더니 하루는 거북이 머리 같은 돌덩이가 동해로 떠밀려 왔다. 그 돌배에는, 낮에는 둘로 나뉘고 밤에는 하나로 합쳐지는 대나무가 있었다. 이를 취해 피리를 만들어 불었더니 천하가 태평해졌다. 그래서 세상의 시끄러움(萬波)을 잠재우는(息) 악기라 해서 만파식적이라 이름 붙였다. 효소왕 때까지 이 이적이 거듭 일어나니 만만파파식적이라 고쳐 불렀다. 대나무로 만든 피리만 그러할까? 낮에는 둘이었다가 밤에는 하나가 되는 대나무의 은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타악기로 말하면 장구가 대표적이다. 장구의 가장 오래된 형태는 요고(腰鼓)다. 여러 연구자에 의하면 <고려기>, <서량기>, <구차기>등에 요고가 등장한다. 고구려고분벽화 오회분 4호묘, 집안 17호분 등 다양한 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구례 화엄사의 사사자삼층석탑이나 평창의 화엄사나 상원사 범종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모래시계를 연상하면 쉽다. 허리처럼(腰) 잘록하게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실제 허리에 차고 연주를 한다.

진도 명량해협에서 인양된 청자모란넝쿨문장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음양의 철학을 담은 악기 장구

칠머리당굿을 포함한 제주도의 무속음악이나 별신굿을 주축 삼는 동해안 무속음악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요고를 떠올리게 하는 작은 사이즈의 장구를 사용한다. 사이즈가 길고 통이 넓은 교방(敎坊) 장구의 음악과는 차이가 있다. 고고학적 유물 유적에서 요고를 확인할 수 있다. 진도 등지에서 출토된 청자 장구는 요고보다 사이즈가 크다. 고려 이후의 일일 것이니 적어도 그 이전 시대의 음악과 차이가 난다는 점 알 수 있다. 크고 긴 장구를 바리톤에 비유한다면 요고류의 악기들은 소프라노에 비유할 수 있다. 신창동 출토 두 개의 고깔북도 나는 장구의 맥락에서 해석하는 중이다. 울림과 공명의 혼융, 세상의 시끄러움을 잠재우는 중용의 소리, 그 조화의 철학을 체화시킨 이들이 이 땅 마한인들이고 한반도 사람들이라는 전제에서 그렇다. 그렇지않고서야 어찌 남도땅에서 판소리나 산조음악을 시작할 수 있었겠는가. 지난 2014년 진도 명량해협에서 건져 올린 '이형도기', 허리가 잘록한 아령 모양이어서 그릇 받침 정도로 추정하던 유물이다. 이를 이복수 명인이 요고로 해석했다. 근거는 울림통, 울림턱, 자웅성 등 세 가지다. 울림통의 가운데가 잘록한 것이 요고다. 양 주둥이 안쪽에 돌출된 부분은 소리를 넘기는 공명턱이다. 예컨대 궁손에서 출발한 공기의 파장이 채손에 닿고 돌아와 이 턱에 부딪힌다. 반대로 챗손에서 출발한 공기의 파장은 궁손의 공명 턱에 부딪혀 화음을 만든다. 양쪽 주둥이의 크기 또한 다르다. 큰 편이 굵고 낮은 소리를 내며 작은 편이 가늘고 높은 소리를 낸다. 이 자웅(雌雄)의 소리가 혼융하여 장구의 음색과 음악을 만들어낸다. 조화로움이며 균형이며 중용이다. 부부나 연인의 밀접함을 비유할 때 늘 금슬(琴瑟)에 비유한다. 금(琴)은 거문고의 하나이고 슬(瑟)은 기타와 비슷한 비파의 하나다. 두 악기가 서로 음률을 간섭하고 교직하여 천상의 음악을 만들어낸다. 장구 또한 음양의 조화를 꾀해 그 미학을 완성한다. 이것이야말로 우리 음악의 요체다. 담양의 터-무늬가 대나무라는 점에서 죽장구의 연원을 올려잡아 추정할 수 있다. 얼멍치(어레미)의 대나무 테를 버리지 않고 이른바 법고(벅구, 버꾸라고도 한다)로 만들어 활용했던 조상들의 생활 음악을 전제하면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만파식적처럼 장구의 울림은 세상을 다스리는 기운, 세상과 공명하는 에너지를 가졌다.

진도명량해협에서 인양한 도기로 복원한 요고와 이복수 명인. 씨엔비뉴스

남도인문학팁

장구의 리듬, 대삼소삼과 오끔조끔의 미학

엿타령을 잘 부르는 조오환 명인은 '오끔조끔'이라 한다. 오금에서 온 말일텐데 춤사위의 크고 작은 것, 울리는 소리의 크고 작은 것들이 서로 융기하고 침강하는 조화를 말하는 것이다. 국악계에서는 대삼소삼이라 한다. 대삼은 양(陽)적인 것, 소삼은 음(陰)적인 것이다. <주역>의 계사전에는 남성을 이루는 것이 건도(乾道)요, 여성을 이루는 것이 곤도(坤道)라 한다. 하늘과 땅, 남자와 여자, 불과 물, 낮과 밤 등 모두 대대성(對待性)의 역리를 주창한 이론들이다. 주의할 것이 있다. 남자를 하늘에 비유하고 여자를 땅에 비유한 것이 지위의 우월함이나 격의 고저나 상하를 말함이 아니다. 대칭은 대등한 것을 넘어 비로소 하나가 되는 이치를 말한다. 낮에 둘이었다가 밤에는 하나가 되는 만파식적과도 같다. 네가 있음으로 내가 있고 내가 있음으로 네가 있다는 상보의 원리다. 여기에 중용이 있고 조화가 있으며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는 우리 음악의 철학이 있다. 하지만 음악은 변한다. 마치 지금의 가요가 100여 년 전의 판소리나 민요와 다른 것과 같다. 예컨대 6~70년대를 횡단하던 기타(quitar)는 어떠한가. 악기도 바뀌고 음악도 바뀌고 기호 또한 바뀐다. N세대 Z세대가 부모 세대와 향유하는 음악이 다르듯, 이전 시대라고 해서 동일한 기호가 유지된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시대를 횡단하는 음악의 근간은 균형의 도모, 장단과 화음의 지향에 있다. 그래서다. 담양의 대나무장구, 그 출처를 특정할 수는 없지만 지금 만들어지고 향유된다는 점을 오히려 주목한다. 올곧고 청정한 기운 실어 어떤 시대적 공명을 이루어 낼지. 담양 사람들의 지혜가 기대된다.

편집에디터 edit@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