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송정역 이용객 포화… 시, 증축 대책 소극적"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의회
"광주송정역 이용객 포화… 시, 증축 대책 소극적"
정무창 광주시의원 시정질의 ||국토부 최상위 계획에 광주 제외||2차 사업 대상지였지만 ‘백지화’||“교통체계 개선 방안 마련할 것”
  • 입력 : 2021. 10.06(수) 17:09
  • 최황지 기자
설 연휴 마지막날인 지난달 14일 광주송정역에서 고향을 찾은 귀성객들이 서울-용산행 KTX를 타기 위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나건호 기자
국토부가 추진하는 '제3차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기본계획'에 광주송정역이 포함되지 않자 광주시의 소극적 행정이 도마에 올랐다. 광주송정역의 이용객이 늘어가고 있지만 시설 증축 및 교통 여건 개선에 대한 광주시의 종합계획이 부족하다는 비판이다.

광주시의회 정무창 의원은 6일 시정질문을 통해 "광주송정역은 늘어나는 이용객 대비 환승시설이 부족하고 고객불편 및 주변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가 확정한 제3차 복합환승센터 사업 계획에서도 광주송정역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2021~2025년)의 '제3차 복합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기본계획'은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지난 8월 전국 47곳이 발표됐다.

앞서 '제2차 복합환승센터 개발 기본계획'(2016~2020년)에 반영됐던 광주송정역은 이번 계획에서는 빠졌다. 당시 복합환승센터 사업시행 예정자였던 서희컨소시엄과 사업부지 소유자 간 토지사용 협의가 지연되면서 지난 2018년 5월 광주시는 사업 백지화를 선언했다.

정 의원은 이를 두고 "KTX, 수서SRT 개통으로 이용객이 3만명 수준으로 넘어서면서 각종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며 "중소도시도 아니고 광주의 관문이며 서남권 광역 교통허브 중심인 광주송정역의 시설개량 사업에 광주시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복합환승센터 건립시 오는 2025년에는 환승 인프라가 2배 이상 확충되고 3분 이내 환승이 확대돼 주요 역사의 환승거리가 2분의1로 단축된다.

정 의원은 "이번 계획에 포함된 비수도권 사업을 보면 서대구역, 울산역, 마산역, 계룡역, 천안아산역, 익산역, 전주역은 KTX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확충을 통해 버스, 택시, 승용차 등 연계 교통과의 환승체계 확충이 기대된다"며 "유성터미널, 사상, 송정등 8곳은 일반 도시철도, BRT 버스 간 환승체계를 개선해 대중교통 이용자 편의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향후 2025년 호남고속철도 2호선 개통, 경전선 개통, 달빛내륙철도 개통을 하게 되면 광주송정역의 대합실 증축 및 일부 시설개선사업으로는 향후 늘어나는 이용객을 감당할 수 없다"며 "광주시가 송정역에 대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국토부 및 국가철도공단에 강력하게 건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광주시 관계자는 "광주송정역 복합환승센터의 경우 2018년 5월 사업 종료를 통보했기 때문에 이번 계획 대상사업에 포함되지 않은 것"이라며 "광주송정역과 보행동선 연계를 위한 보행 육교 설치, 이용객 이동편의를 보장하는 완화차로 설치 및 버스정류장 및 택시승강장 설치 등으로 향후 광주송정역 주변 환승 중심의 교통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최황지 기자

최황지 기자 orchid@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