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화해위 2기, 6·25 전남 민간인 희생도 조사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회일반
진실화해위 2기, 6·25 전남 민간인 희생도 조사
한국전쟁 민간인 피해 60% 전남 ||화순·해남·장성 등 3450건 신청 ||진화위 여순사건 239건 조사개시
  • 입력 : 2021. 10.19(화) 18:20
  • 도선인 기자
김영록 전남지사 등이 19일 여수시 이순신광장에서 열린 여순사건 제73주기 합동위령제 및 추념식에서 묵념하고 있다. 나건호 기자
진실화해위원회(진화위) 2기 활동에 따라, 여순사건 연장선 격인 한국전쟁 전후 전남 지역에서 일어난 민간인 희생 사건도 함께 조명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남의 경우 민간인 최다 희생지역으로 지목되고 있지만 전쟁 발발 7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현황조사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19일 진화위에 따르면, 지난 5월 1차 조사개시 이후 총 10차에 거쳐 '한국전쟁 전후 광주전남에서 일어난 군경 및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 사건'에 대해 진실규명 조사개시를 결정했다. 9차 조사개시까지 광주를 비롯해 전남 22개 시군이 모두 포함됐으며 개별적으로 접수된 신청사건만 3420건에 이른다.

진화위는 광주전남에서 신청 접수된 '군경 및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 3450건 중 지난 13일까지 1706건에 대해 진실규명 조사개시를 결정했다.

개별신청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영암으로 675건이다. 뒤이어 함평에 354건, 영광에 311건의 신청이 있었다.

여순사건과 관련한 진실규명 신청도 695건이 있었다. 이중에서 진화위는 239건에 대해 조사개시를 결정했다. 조사 내용은 여순사건 특별법에 따라 관련 위원회가 신설되면 그 내용이 이관될 수 있다.

지난 5월 가장 먼저 조사개시 사건에 포함된 지역은 화순이다. '화순군 군경 및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사건'은 1949년부터 1953년까지 군경의 빨치산 토벌작전 수행 과정에서 화순 군민들이 희생된 사건이다.

그동안 전남지역 내에서는 오랫동안 한국전쟁 전후 많은 민간인들이 군경에 의해 사망했다는 이야기가 떠돌았다.

실제 이번 진화위 2기에 접수된 한국전쟁 전후로 발생한 민간인 희생사건 중 60%가 전남이기도 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제대로 된 실태조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자료가 소실 됐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작성된 자료는 전쟁 당시 기록된 자료가 전부인데, 이마저도 희생자 편차가 커 공신력이 떨어진다.

다만 '6·25사변 피살자 명부'와 '대한민국통계연감'을 통해 전남에서 희생자가 컸다는 것 정도만 잠작케 한다.

1952년 3월31일 공보처 통계국이 작성한 '6·25사변 피살자 명부'에 따르면 전국 민간인 피살자는 5만9964명으로 기록됐다. 이중 전남에서만 4분의 3에 가까운 4만3511명(72.56%)이 학살당했다. 지역별로는 영광이 2만1225명으로 전남의 절반 수준인 48.78%였다.

1953년 발간된 '대한민국통계연감'에는 전국 피살자가 12만8936명으로 이 중 전남에서 절반이 넘는 6만9787명(54.13%)이 학살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북 피살자 1만4216명을 더하면 호남에서만 3분의 2 수준인 8만4003명이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것으로 기록됐다.

진화위 관계자는 "여순사건 등을 거치면서 군경토벌대와 빨치산의 활동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받았다. 군경의 빨치산 토벌작전 수행과 인민군 및 좌익세력 협조자 색출 과정에서 민간인들이 희생됐다"며 "지리적 배경과 한국전쟁 전후 상황을 고려하면, 각각 적대세력에 의해 군민들이 희생되었을 개연성이 큰 지역이다"고 말했다.

정근식 위원장은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 사건은 도 단위에서 전남이 그 피해가 가장 크다"면서 "당시 민간인들이 전국 형무소로 끌려가 고초를 당하고 집단 희생됐다. 2기 활동을 통해 사건의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 차원의 유공자 대우나 위령사업 추진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현재 전남은 명확한 현황 파악이 어려워 유공자 대우나 위령사업 추진 등도 미진한 실정이다. 도내 6·25전쟁 전후 민간인 희생사건 관련 위령시설은 28개소가 운영 중이지만 지역별로 있는 현충탑과 소규모 시설이 대부분이다.

또 위령제는 지난 2015년부터 전남도의 합동 위령제와 시군별 위령제가 연 15차례 열리고 있지만 시행하지 않는 시군도 있을 뿐더러 미흡하다. 이에 대해 전남도는 내년도 본예산에 용역비를 반영해 도 차원의 실태조사에 돌입할 방침이다.

한편 앞서 진화위 1기는 여순사건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기본법'에 따라 직권조사를 진행하고 종합보고서를 통해 희생자들이 구제될 수 있도록 특별법 제정을 정부에 권고했다.

도선인 기자 sunin.do@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