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인공지능(AI) 반도체 1위 기업 엔비디아가 구글을 향한 견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엔비디아는 25일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를 통해 “구글의 성과를 기쁘게 생각한다”면서도 “우리는 업계보다 한세대 앞서 있으며 모든 AI 모델을 구동할 수 있는 플랫폼은 엔비디아뿐”이라고 강조했다. 특정 구조에 맞춰 설계된 주문형반도체보다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성능과 확장성, 호환성에서 우위에 있다는 점도 거듭 부각했다.
이 같은 발언은 구글이 자사 인공지능칩인 텐서처리장치(TPU)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구글은 최근 7세대 TPU인 ‘아이언우드’를 공개하며 공급 방식 다변화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존처럼 자사 클라우드를 통해서만 제공하는 방식을 넘어서 직접 공급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실제로 인공지능 기업 앤트로픽은 최근 구글의 TPU 100만개를 활용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메타 역시 TPU 도입을 협의 중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만약 이 흐름이 가속화되면 엔비디아의 주요 고객사 일부가 이탈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젠슨황 최고경영자는 “구글은 엔비디아의 고객입니며, 구글의 AI모델 역시 엔비디아 기술로 구동된다”며 경쟁 속 협력관계를 재확인했다. 구글도 “맞춤형TPU와 엔비디아GPU 모두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두 기술을 동시에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AI칩 시장을 둘러싼 양사의 신경전이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반도체 주도권 경쟁도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