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나서는 김건희. 연합뉴스
특검 나서는 김건희. 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사태와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에게 두 차례 소환을 통보했으나 모두 불응한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박 전 장관이 김 여사로부터 청탁을 받고 검찰 인사에 개입하거나 수사 정보를 유출한 의혹과 관련해 서울남부구치소에 수용된 김 여사에게 최근 두 차례 참고인 조사를 위한 출석을 요구했다.

김 여사측은 형사 재판과 김건희특검 피의자 조사 일정, 김 여사의 건강 문제 등을 이유로 모두 불응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김 여사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을 통해 검찰 수사에 부당하게 개입한 정황을 포착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수사 강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지난해 5월, 송경호 서울중앙지검장을 포함한 지휘라인이 전격 교체된 이른바 ‘물갈이 인사’의 배후에 김 여사의 입김이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당시 중앙지검은 김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을 수사 중이었다.

특검은 박 전 장관 수사 과정에서 김 여사가 박 전 장관에게 ‘내 수사는 어떻게 되고 있나’, ‘김혜경·김정숙 여사의 수사는 왜 진행이 잘 안되나’ 등의 취지로 물어본 메신저 대화 내용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장관이 창원지검으로부터 보고받은 공천개입 의혹 수사보고서 등을 김 여사에게 전달한 정황도 새롭게 포착됐다.

특검은 김 여사의 메시지에 대한 박 전 장관의 답변 내용, 수사 상황 보고가 이뤄진 과정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전날 김건희특검팀으로부터 압수수색 형태로 김 여사의 휴대전화를 제출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해당 휴대전화는 현재 비밀번호가 잠겨 있어 즉각적인 포렌식 분석에는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전남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