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풍일반산단 조감도. 광양시 제공 |
전남도는 세풍일반산업단지의 광양항 배후단지 지정을 정부에 건의해 왔는데, 내년 예산 반영으로 기업 유치를 통한 광양항과 지역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양항은 개항 이후 지난해 처음으로 총물동량 3억톤을 달성한 국내 제1의 수출입항만이지만, 자체 물동량 창출을 위한 배후단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
실제 지난 6월 여수광양항만공사가 광양항 배후단지 10만㎡에 3개 기업을 모집하였는데 13개 기업이 신청하여 10개 기업이 탈락한 바 있다. 자체물동량 창출을 통한 광양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저렴한 임대료로 입주가 가능한 배후단지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여수광양항만공사는 2025년까지 북측 배후단지 11만㎡를 조성할 계획이지만, 이는 부산항의 426만㎡, 인천항의 512만㎡에 비해 턱 없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전남도는 광양항을 자족형 화물창출 모델인 '아시아의 로테르담' 로 개발한다는 해양수산부 계획에 맞춰 수출형 제조기업에게 저렴한 임대료로 부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세풍일반산업단지를 광양항 배후단지로 확대 지정해 줄 것을 정부에 건의해 왔다.
이를 위해 김영록 도지사가 직접 나서 국무총리, 경제부총리, 해수부장관을 잇따라 만나 건의하는 등 총력을 기울였다.
전남도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은 광양항 배후단지 확대를 위한 예산이 반영됨에 따라 내년부터 세풍일반산업단지 242만㎡ 중 즉시 사용이 가능한 33만㎡를 배후단지로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광양경제청 관계자는 "항만 배후단지 확대는 자족형 화물창출을 통해 광양항을 '아시아의 로테르담'으로 개발한다는 해양수산부 기본계획 실행을 위한 첫 걸음"이라며 "미‧중 무역갈등, 국내외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광양항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양=심재축 기자 jcs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