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여 년 역사 자치언론기구 '용봉교지' 존폐 위기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대학
50여 년 역사 자치언론기구 '용봉교지' 존폐 위기
전남대 유일 자치언론기구 논란 ||광고비 내역 공개 놓고 총학 갈등 ||교외 소식·소수자 입장 대변 불만|| “대학생 목소리 창구 박탈 우려”
  • 입력 : 2021. 03.25(목) 16:27
  • 양가람 기자
전남대학교 정문
전남대학교 유일 자치언론기구인 '용봉교지'를 놓고 학생들 사이에 논란이 일고 있다. 소수자 문제 등 학외 이슈에 집중하는 게 교지의 정체성과 맞지 않아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과 대학생이 사회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된다는 우려가 충돌하고 있다.

● 용봉교지는 무엇?

전남대학교 교지 '용봉' 제1호는 1969년에 발간됐다. '용봉'은 전남대 유일 학생자치언론기구로서 총학생회와 동등한 위상을 갖는 독립된 공간이다. 1년에 2권씩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용봉교지는 교지(校誌)라는 정체성에 얽매이지 않고 정치, 경제, 노동, 문화, 페미니즘, 인권 등 다양한 분야의 사회 문제들을 다룬다. 최근엔 노동조합 관계자들을 초청해 택배노동자 인권에 대해 간담회를 진행하기도 했다.

정현지(행정학과·3학년) 용봉교지 편집장은 "'용봉'은 교지만이 아니라 주목하고 싶은 사회 이슈들에 대해 세미나를 여는 등 학회 성격도 갖는다. 그간 사회적 약자들에게 쥐어진 적 없는 마이크를 내미는 게 우리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50여 년이 넘는 긴 역사를 갖는 '용봉'은 민주화를 부르짖고 대학생으로서 사회 목소리를 내왔다는 점에서 교지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노태우 정권의 폭력성을 규탄하며 학우들의 단결을 촉구하고자 분신했던 박승희 열사 역시 교지 '용봉'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2011년부터 5년간 용봉교지 편집위원·편집장으로 활동했던 양유진(30·여)씨는 "용봉교지는 구성원 모두에게 자부심이었다"면서 "대학생으로서 사회를 향해 당당히 목소리를 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약자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단순한 교지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 총학생회와의 갈등

그런 '용봉교지'가 최근 총학생회와 갈등을 겪으면서 전남대 학생들 사이에 논란의 대상이 됐다. 전남대 총학생회가 교지에 실리는 광고비 내역을 요구한 게 시작이었다.

임기안 전남대 총학생회장은 "용봉교지가 등록금으로 인쇄되는 만큼 뒷면에 실리는 광고 내역도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본다. 하지만 용봉교지는 이를 거부했다"면서 "2018년까지 총학생회는 운동권이 집권했고, 용봉교지 편집장도 총학생회장이 임명했다. 그래선지 광고비 문제가 공론화 된 적도 없었다. 운동권 친구들이 용봉교지를 사적 기구로 만든건 아닌가 의구심이 드는 지점"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용봉교지 측은 학칙에 광고비 내역 공개 규정이 없는 만큼 별도 절차 마련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절차 마련 등을 논의하고자 단과대 학생회장들이 모인 학교운영위원회(학운위)가 열리기도 했다. 하지만 학운위에서는 '등록금으로 인쇄되는 용봉교지가 특정 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내용이 주로 오갔다. 소수자 문제를 다루거나 진보단체의 입장을 싣는다는 점도 들며 용봉교지의 정체성을 의심하기도 했다.

이후 학운위 회의록이 학내 커뮤니티 등에 공개되면서 대학 구성원들의 반발이 불 번지듯 확대됐다. 전남대 에브리타임(에타)에는 용봉교지가 특정 진보단체의 대변지로 전락했다는 식의 소문과 함께 용봉교지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임기안 총학생회장은 "전대신문, 전대방송, 전대트리뷴 등 이미 전남대 안에 다른 기구들이 언론으로서 기능 중이다. 하지만 용봉교지는 언론사로서 기능 대신 노동, 인권, 페미니즘만을 다루고 사회진보연합 관련 활동도 진행한다. 현재 동아리 활동 예산 1억4000만원 가운데 800만원이 용봉교지에 배정됐다. 그들이 하고 싶은 활동을 하는데 소중한 등록금이 사용돼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 "대안언론 정체성 다시 새기겠다"

용봉교지 측은 어떠한 언론 조직이든 정치적 입장을 갖는다고 주장했다.

오병호(독문학과·3학년) 용봉교지 편집위원은 "에타에 제기되는 의혹들은 그간 학생들 안에 쌓인 분노가 폭발한 것이라 생각한다. 뚜렷한 입장을 가진 이들을 보면 정치적이라고 선부터 긋는데, 에타의 무차별적 공격 역시 하나의 정치적 입장"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그간 외연이 넓지 않았던 만큼 학생들과의 꾸준한 소통으로 '자치언론기구'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정현지 편집장은 "등록금으로는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우리는 대안언론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것부터 시작할 것이다. 또 우리의 입장에 동의하는 학생들을 많이 모아 학생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공론장 역할을 하는 게 현 사태에 대한 우아한 반격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용봉교지 측은 폐지 주장에 맞서 교내외에서 지지 서명을 받고 있다. 일부 전남대 교수들은 일련의 사태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용봉교지가 가진 전통을 되새겨 봐야 할 때라는 조언이다.

한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용봉교지는 학생들만의 조직이 아니다. 전남대 구성원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내는 오랜 전통이 서린, 용봉인들의 역사적인 삶의 장"이라며 "전통을 만들기는 어려워도 무너뜨리는 건 한 순간이다. 광고비 공개 문제는 합당한 민주적 절차를 밟아 처리하면 될 일이다. 섣불리 교지 폐지를 운운할 권한이 총학생회에는 없다. 교지 혁신은 있어도 폐간은 있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양가람 기자 lotus@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