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소상공인 10명 중 8명 월세 내며 장사한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경제일반
광주 소상공인 10명 중 8명 월세 내며 장사한다
통계청, 2020년 소상공인 실태조사||보증부 월세 85%…전년보다 증가||사업종사자 16% 감소… 전국 1위||영업이익 반토막… 20대 창업 증가
  • 입력 : 2021. 12.28(화) 17:01
  • 곽지혜 기자
광주지역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이 임차 형태로 장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78.2%보다 증가한 수치로 남의 가게를 빌려 장사를 하는 소상공인이 더욱 늘어난 것이다.

또 사업체 수는 증가했지만, 종사자 수는 전국에서 가장 크게 감소하는 등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관련 일자리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전국 기준으로는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지며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8일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발표한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등 11개 업종 전국 소상공인 사업체 4만개가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0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잠정)'에 따르면 광주지역 소상공인 사업체는 8만5000개로 전년 대비 3.8% 증가했다.

점유형태별로는 소유가 19.9%, 임차가 80.1%로 전년보다 임차 형태의 소상공인이 1.9% 증가했다. 구체적인 임차 형태로는 보증부 월세가 84.5%, 무보증부 월세 3.5%, 전세 2.8%, 매출 대비 2.2%, 무상 5.5% 등으로 나타났다.

다만 광주지역 임차료는 보증금 2015만원, 월세 106만원으로 전국 평균 보증금(2138만원)과 월세(119만원)를 밑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의 경우 2410만원으로 17개 지자체 중 가장 낮았다.

소상공인 사업체가 증가한 반면, 종사자 수는 전년보다 15.8% 감소하며 전국 17개 지자체 중 증감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기준으로도 87만1000명의 종사자가 감소하며 2018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예술·스포츠·여가업에서 종사자 수가 전년 대비 20.5%(3만9000명) 줄어들었고 도소매업 16.7%, 숙박·음식점업 16.2% 등 감소폭이 크게 나타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대면 서비스업종에서 일자리가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국 기준 소상공인들의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업체당 평균 영업이익이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집계돼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으로 인한 소상공인들의 고통을 반증했다.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1900만원으로 코로나19가 시작되기 전인 2019년 대비 1400만원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연간 최저임금인 약 2154만원보다 낮은 것으로 월 수입으로 따지면 16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업종별로는 예술스포츠·여가업에서 전년 2000만원보다 85.2% 급감한 300만원의 영업이익을 올렸으며 교육서비스업은 2200만원에서 800만원으로 66.4%, 숙박·음식점업은 2900만원에서 1200만원으로 56.8% 각각 감소했다.

이처럼 영업이익은 크게 감소했지만, 소상공인이 보유한 총부채는 전년 246조7000억원에서 47조7000억원이 늘어난 294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업체 당 부채 보유비율 역시 전년 대비 8.1% 증가한 60%로 조사됐고 업종별로는 교육서비스업의 부채 증가율이 47.4%로 가장 높았다.

또 소상공인 사업체의 대표자 연령은 50대 비중이 가장 높았지만, 20~30대 대표자의 비중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주력 세대로 꼽히던 40대의 대표자 비중은 0.2%, 50대는 1.3%, 60대 이상이 1.3% 감소한 것과 반대로 20대 이하는 전년 6만9000개에서 18만2000개로 무려 16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역시 10.3% 늘어났다.

기업체 신규 채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알바 자리까지 줄어들자 20~30대를 중심으로 소규모 창업 열풍이 불고 있는 것이다.

경영 애로 요인으로는 '경쟁 심화'(38.3%), '상권 쇠퇴'(37.6%), '원재료비 상승'(28.7%) 등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소상공인들이 필요로 하는 코로나19 대응 정책으로는 보조금 지원이 67.7%로 가장 많았으며 융자 확대 33.0%, 사회보험료 완화 21.4% 등이 뒤따랐다.

곽지혜 기자 jihye.kwa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