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로고 |
유수택 국민의힘 광주시당 고문은 30일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윤석열 정부의 성공을 위해, 2보 전진을 위해 1보 후퇴하는 권성동 원내대표의 사퇴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성명에는 유준상 당 상임고문과 김화진 전남도당 위원장, 홍기훈·윤영일 전 의원 등 여권 인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당의 현실이 황당하고 참담하다"며 "국민들에게 민망하고 부끄럽다"고 사과했다.
또 "이번 당내 갈등은 새 정부 출범 때부터 예견된 일"이라면서 "인사풀이 근본적으로 좁은 상황에서 윤핵관들의 권력 다툼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진단했다.
이들은 "이준석 전 대표도 절제된 행동을 해야 한다"며 "당의 내홍을 빨리 수습해 정부가 안정적으로 국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 안팎의 사퇴 압박에도, 권 원내대표는 이날 "이미 의원총회에서 결론이 다 났다"며 정면 돌파 의지를 분명히 했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에서 당 위기 상황의 원인을 이준석 전 대표의 '성 상납 증거 인멸 교사 의혹'으로 규정하면서,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새 비대위 출범을 위한 당헌·당규 개정 작업에 들어갔다.
당 법률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는 유상범 의원이 '선출직 최고위원 5명 중 4명 이상 궐위된 경우' 비대위 전환이 가능한 비상상황으로 규정하는 당헌 96조 1항 개정안을 보고했다.
국민의힘 당헌 96조 1항은 당 대표가 궐위되거나 최고위원회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 비상상황이 발생한 경우 비대위를 설치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비상상황 요건에 '선출직 최고위원 4명 궐위'를 적시해 구체성을 명확히 하겠다는 것이다.
총 9명으로 규정된 국민의힘 최고위에서 선출직 최고위원은 청년 몫 최고위원 1명을 포함해 5명이다. 앞서 김용태 청년최고위원을 제외한 4명의 선출직 최고위원이 사퇴한 상황에서 당헌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비대위 전환을 추진할 수 있다.
하지만 전국위원회 의장인 서병수 의원은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전국위 소집 요구에 대해 "저는 할 생각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권 원내대표가 '서 의장이 전국위 소집 요청을 거부할 경우 부의장이 대신 열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선, "당헌·당규에 그런 조항 없다"며 "그것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