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광주전남연구원 ‘분리의견’ 제출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
광주·전남, 광주전남연구원 ‘분리의견’ 제출
광전연 이사회, 27일 시·도 ‘분리 의견 검토
  • 입력 : 2023. 03.21(화) 16:24
  •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
나주혁신도시 ‘광주전남연구원’ 전경. 뉴시스
광주시와 전남도가 광주전남연구원(광전연)의 재분리를 공식화한 가운데 이달 내 본격적인 분리 절차를 밟는다.

21일 광주시와 전남도는 전날 광전연 이사회에 ‘분리’ 의견을 각각 제출했다. 19명으로 구성된 이사회는 오는 27일 회의를 열어 광주시와 전남도의 의견을 검토한다. 이사회 제적 3분의2 이상이 찬성하면 ‘분리’ 의견은 통과된다. 분리가 확정되면 광주시는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며, 전남도는 기존 법인을 승계한 뒤 명칭을 변경한다.

지역의 싱크탱크는 각각 운영하는 것이 지역 발전전략 수립에 유리하다는 게 시·도의 입장이다. 시·도는 광전연을 발전적으로 분리, 지역 미래비전과 분야별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전문기관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지역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연구 등 연구원 분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극대화 한다는 것이다.

연구인력과 출연금을 단계적으로 확대·보완, 연구 기능을 강화하는 한편 산재한 연구기관의 컨트롤타워로 만들어 나간다는 게 시·도의 복안이다.

시·도는 연구원 분리로 지역 여건·환경에 부합한 차별화 된 연구 활성화, 지도·감독 일원화에 따른 책임소재 명확화, 지역 사회와의 상시·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소신 있는 연구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시·도의 뜻대로 연구원이 분리되더라도 전략적 상생·협력이라는 과제는 남아 있다.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를 줄이고 인구 감소·농촌 소멸 등에 공동 대응, 지역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에서 시·도의 정책적 상생·협력은 중요한 대목이다. 시공간적 분리에 따른 공동연구 기능의 약화로 자칫 상생과 협력, 소통과 통합의 가치가 훼손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광전연 연구원들도 “눈 앞의 공동위기에 광주와 전남은 따로 대응할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호남권 전역이 지방소멸 위기와 도전에 직면해 있는데 광주와 전남이 따로 대응하는 것은 정책적인 퇴행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구과제가 아닌 행정구역 중심의 잦은 분리와 통합에 따른 소모적 논쟁, 연구원의 위상과 정체성 훼손, 이해득실에 따른 지역 갈등 등의 문제도 광주시와 전남도가 풀어야 할 과제다.

시·도 관계자들은 “지역 특성을 반영한 독립적 연구를 통해 실질적 상생 방안을 마련하는 데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전연은 광주와 전남의 잠재력을 토대로 정책을 개발하고, 지역의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연구기관이다. 광전연은 1991년 12월 전남발전연구원으로 태동을 알렸다. 1995년 6월 광전연으로 이름을 변경했다가 2007년 7월 전남발전연구원·광주발전연구원으로 각각 분리됐다. 2015년 9월 현재의 모습인 광전연으로 재통합됐다. 지난해 민선8기 출범과 동시에 광주와 전남에서 광전연 재분리 논의가 급부상했으며, 논란 속 광주시와 전남도는 공청회 등의 과정을 거쳐 재분리 의견으로 입장을 최종 정리했다.
박상지 기자 sangji.park@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