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행동장애 학생 가이드 전무한 교육현장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광주시교육청
과잉행동장애 학생 가이드 전무한 교육현장
최근 관련 장애 청소년 증가세
현장에선 지도 어려움 커 난색
민원 들어올까 교사들 전전긍긍
광주교육청, 가이드라인 제작중
  • 입력 : 2023. 08.16(수) 18:12
  • 양가람 기자 lotus@jnilbo.com
광주시교육청 전경
전남도교육청 전경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를 진단받은 어린이와 청소년이 최근 몇 년 사이 급증한 가운데, 이들로 인한 교권 침해도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ADHD 학생 등 경계성 장애 학생 지도에 대한 매뉴얼이 전무한 실정이어서 교육 현장에서는 연일 불만이 제기되고 있다.

1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ADHD 진료를 받은 만 6∼18세 어린이와 청소년은 지난 2018년 4만4741명(남자 3만6469명, 여자 8272명)에서 지난해 8만1512명(남자 6만3182명, 여자 1만8330명)으로 82.19%(3만6771명)나 급증했다.

올해 4월 기준 특수교육 대상자가 10만9700명인 점을 감안하면, ADHD 진료자가 차지하는 규모가 상당하다. 여기에 학부모의 거부로 치료나 상담받지 않는 경우도 고려하면 실제 ADHD 아동·청소년 수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교육청은 개인정보 등을 이유로 정확한 통계조차 파악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김은영 전남도교육청 학생생활교육과 상담대안교육팀 장학사는 “개인정보보호법에 근거해 전남의 ADHD 학생 통계 자료를 따로 가지고 있지 않다”며 “무엇보다 ADHD는 의료기관으로부터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하는데, 부모가 이를 공개하길 꺼리거나 아예 진료조차 받길 거부하는 경우가 많아 학교에선 알 길이 없다. 그래서 ADHD라고 의심되더라도 교사가 이들을 따로 지도·관리하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교사들은 ADHD가 의심되는 학생들이 수업 중에 소리를 지르거나 다른 학생을 계속 때리는 등 문제 행동을 보여도, 자칫 아동학대로 비칠까 두려워 이를 제지하거나 훈육하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생활교육 분야에서 교사의 자율성을 키우는 등 제도 손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일선 학교 교사들은 초1·4, 중1, 고1 학생들 대상으로 매년 실시하는 ‘정서행동 특성검사’를 통해 관심군 학생들을 발견하면, 위기학생 지원기관인 위(Wee)센터나 전문 의료기관을 연결해 상담·치료를 받을 수 있게끔 돕는다.

하지만 학부모 동의가 필요한 영역이라, 쉽지 않다.

실제 ADHD 의심 소견을 알렸다가 ‘우리 아이를 정신적인 문제가 있는 학생으로 보느냐’며 되레 교사가 학부모로부터 민원을 받기도 한다.

이런 탓에 교육 현장에서는 ADHD가 의심되는 학생이 문제 행동을 보여도 학부모의 반응이 두려워 교사가 제대로 된 지도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김정욱 광주시교육청 체육예술인성교육과 생활교육팀 장학사는 “ADHD는 이제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만큼 흔해진 데다, 약물로도 충분히 증상이 개선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자녀의 ADHD를 인정하고 외부 기관에 보내 치료하겠다는 부모는 10명 중 1명도 채 안 된다”며 “ADHD를 포함해 모든 경계성 장애 문제에 있어서 교사와 부모의 소통이 무척 중요하다. 또 학생 생활지도 과정에서 부모 동의가 있어야 하는 경우가 상당한데, 사안에 따라 교사의 자발성을 허용해 줄 수 있도록 제도 손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교육청도 이런 어려움을 아는지 관련 제도를 정비하거나 대책을 마련 중이다.

ADHD 진단 학생 대상 1인당 200만원 이내에서 약제비와 치료비를 지원해 주고 있는 전남도교육청은 올해 처음으로 ‘ADHD 학생 지도 교원 연수’를 실시했다. 총 4차례 진행된 해당 연수에는 300여 명의 초·중등 교사가 참여했는데, 특히 일반학교로 막 발령받은 신입 교사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광주시교육청은 ADHD뿐 아니라 학교생활 부적응 학생에 대한 종합적인 지도방침을 담은 리플릿을 자체적으로 개발, 9월 중 일선 학교에 배부할 계획이다.

지역 교육 관계자는 “현재는 교사들이 산발적인 연수에 의존해 교육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관련 장애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통합 매뉴얼을 교육청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가람 기자 lotus@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