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체고 출신의 ‘한국 여자 배드민턴 여자 단식 간판’ 안세영이 27일(한국시간) 덴마크 코펜하겐 로열 아레나에서 열린 2023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세계개인배드민턴선수권대회 여자 단식 결승서 카롤리나 마린(스페인)을 2-0으로 완파하고 우승한 뒤 환호하고 있다. AP/뉴시스 |
![]() 광주체고 출신의 ‘한국 여자 배드민턴 여자 단식 간판’ 안세영이 27일(한국시간) 덴마크 코펜하겐 로열 아레나에서 열린 2023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세계개인배드민턴선수권대회 여자 단식 결승서 카롤리나 마린(스페인)을 2-0으로 완파하고 우승한 뒤 시상대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AP/뉴시스 |
여자 단식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은 지난 27일(한국시간) 덴마크 코펜하겐 로열 아레나에서 열린 2023 세계배드민턴연맹 세계개인배드민턴선수권대회 결승전에서 세계 6위 카롤리나 마린(30·스페인)을 2-0(21-12 21-10)으로 꺾고 우승했다.
2021년 8강, 지난해 4강에서 머물렀던 안세영은 올해 가장 높은 시상대에 올라서며 한국 선수로는 역대 최초로 세계선수권 단식 종목 우승이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한국 배드민턴 단식은 1977년 시작한 이 대회에서 준우승 2차례, 3위 9차례에 그쳤다. 여자 단식 방수현이 1993년 처음으로 결승전에 진출해 은메달을 획득했고 1995년 박성우가 남자 단식 준우승을 차지했다.
안세영은 결승에서 마린을 꺾으며 한국 단식의 세계선수권 46년 무관 역사에 마침표를 찍었다.
광주 풍암초 1학년 때 라켓을 처음 잡은 안세영은 될 성 부른 떡잎이었다. 초등 5학년 때 요넥스 코리아 주니어오픈대회 여자 단식에서 처음으로 우승해 중 1학년까지 3년 연속 이 대회 정상에 올랐다.
광주체중 3학년 시절이던 지난 2017년 12월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성인 선수들을 상대로 7전 전승을 거두며 대표팀에 발탁되면서 ‘천재소녀’로 주목받았다.
2018년에는 시니어 무대에 데뷔해 인도네시아 인터내셔널 챌린지 2위, 아이리시 오픈 1위를 기록했고, 2019년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에서 5승(뉴질랜드 오픈·캐나다 오픈·아키타 마스터스·프랑스 오픈·광주 코리아마스터스)을 수확하며 세계 여자단식의 새로운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하지만 2021년 도쿄올림픽에서 시련을 겪었다. 불의의 부상으로 ‘천적’ 천위페이(중국)에게 일격을 당해 8강에서 탈락했다.
도쿄올림픽 메달 실패 이후 안세영은 더욱 단단해졌다. 지난해 코리아오픈에서 무실점 세트 우승을 차지했다. 올해엔 세계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전영오픈에서 방수현 이후 27년 만에 정상에 오르는 등 이번 대회 전까지 국제대회에서 7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세계랭킹 1위로 올라섰다.
안세영은 이번 세계선수권에서도 지칠 줄 모르는 체력을 바탕으로 빈틈없는 수비를 앞세워 승승장구하며 시즌 8승째를 수확했다.
16강전에서 세계 10위 장베이웬(미국)을 2-0으로, 8강전서 세계 36위 오쿠하라 노조미(일본)를 2-1로, 4강전서 세계 3위의 숙적 천위페이(중국)를 2-0으로 연파하고 결승에 오른 안세영은 그동안 상대전적에서 5승4패로 박빙이었던 마린을 상대로 완벽한 경기력을 펼치며 42분만에 우승을 완성했다.
앞서 열린 혼합복식 결승에서는 세계 5위 서승재(삼성생명)-채유정(인천국제공항) 조가 세계 1위 정쓰웨이-황야충(중국) 조를 2-1(21-17 10-21 21-18)로 꺾고 정상에 올랐다.
한국이 세계선수권에서 혼합복식 정상에 오른 것은 2003년 김동문-라경민 조 이후 20년 만이다. 앞서 1989년 박주봉-정명희 조의 우승을 포함하면 한국의 역대 3번째 혼합복식 금메달이다.
남자복식의 서승재-강민혁(이상 삼성생명) 조는 결승서 킴 아스트룹-안데르센 스카루프 라스무센(덴마크) 조를 2-1(14-21 21-15 21-17)로 물리치고 우승을 차지했다.
남자복식 우승은 2014년 대회에서 고성현-신백철과 유연성-이용대가 남자복식 금, 은메달을 나눠 가진 이후 9년 만이다.
여자복식 김소영(인천국제공항)-공희용(전북은행) 조는 준결승전에서 아프리야니 라하유-시티 파디아 실바 라마드한티(인도네시아)에게 0-2(9-21 20-22)로 패해 동메달을 차지했다.
이로써 한국은 역대 최고 성적인 금메달 3개와 동메달 1개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한국 선수단은 29일 귀국한 뒤 다음 달 열리는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준비한다.
최동환 기자 cdstone@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