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를 억압하려는 전두환 신군부의 불법적인 권력장악에 맞서 광주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일으킨 민주화 운동이다. 지난 9일 쓸쓸하게 사망한 이도 5·18 유공자로 1980년 5월 27일, 옛 전남도청에서 시민군으로 활동했다. 당시 고교 2학년생이었던 그는 정권 찬탈을 목적으로 비상계엄이 확대되자 군사 정권에 맞서 싸워야 한다며 목소리를 냈던 의로운 시민군이었다. 결국 상무대 영창으로 끌려가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한 탓에 건설 현장에서 일용직 근로자로 일하며 힘겹게 생계를 꾸려왔다.
올해는 5·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45주년이 되는 해다. 하지만 국가 차원의 기념과 별개로 5·18은 여전히 진실이 밝혀지지 않았고 유공자에 대한 국가적 책임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 보호 체계도 미흡하다. 그와 함께 활동했던 양귀남 5·18 민중항쟁 기동타격대동지회장은 “외롭고 몸이 아프다는 하소연을 늘려놨다.”고 그를 회상했다. 생활고를 겪는 유공자가 그 뿐이 아니라는 것도 부끄러운 현실이다. 얼마 전에는 5·18유공자 10명 중 4명이 월 소득 100만원 이하로 살아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생활고를 견디지 못해 극단적 선택을 한 이도 5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5·18유공자의 쓸쓸한 죽음은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정부와 정치권, 자치단체는 힘든 삶을 이어가는 5·18유공자들에게 희망을 안겨 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5·18의 총체적 진실 규명과 함께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 등 미완의 과제도 해결해야 한다. 그것이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이라는 45주기 5·18민중항쟁의 가치를 살리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