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수산업 명운 달린 전남 연안어장 재배치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사설
사설>수산업 명운 달린 전남 연안어장 재배치
과학적 준비·지원 등도 필요해
  • 입력 : 2025. 05.14(수) 17:25
전라남도가 밀집된 바다 양식장의 ‘숨통’을 틔우기 위해 연안어장 재배치에 나섰다고 한다. 밀집된 연안의 어장환경을 개선하고 , 지속가능한 수산업 생산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라는 게 전남도의 설명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과 어장환경 변화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지구촌 과제다. 이번 재배치가 막힌 바닷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고, 양식장과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개선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전남의 해면(바다) 양식장 면적은 12만 516㏊로, 전국 75%를 차지한다. 우리나라 수산물 생산의 거점기지인 셈이다. 하지만 양식장이 밀집되면서 어장환경 악화와 생산성 저하에 시달리고 있다. 당장 밀집된 양식장은 해수 유통을 방해하고, 폐기물이 축적돼 적조와 질병 확산, 생물 다양성 감소로 이어진다. 낙후된 시설과 비효율적 관리는 생산성 하락도 가져온다. 전남도도 지속적인 연안어장 재배치가 해양오염 방지와 질병 예방을 넘어 어장 생산성 회복과 어장질서 확립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수온상승 등 지구온난화에 따른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한반도 연근해 표층 수온은 지난 60여 년간 1.44도 가량 상승했다. 지난해에는 ‘역대급’ 더위가 찾아오면서 어업 분야에 엄청난 고수온 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해양수산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어업·양식 생산 제도와 시스템 유연화, 안정적 경영환경 조성, 안전한 수산물의 공급 시스템 강화 등 3가지 전략을 제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체험형 양식장 등 관광을 연계한 어장을 개발할 경우 사회·경제적 효율도 높일 수 있다.

전남도는 중앙정부와 함께 수온과 염분, 유속 등 해양 환경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해 과학적인 재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어업인과 주민, 환경단체와의 지속적인 소통과 함께 어장 재배치에 따른 피해 어민에 대한 지원도 아끼지 않아야 한다. 수산업의 지속가능한 미래는 곧 대한민국의 미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