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이슈 77-2> '수주절벽' 이겨냈더니 이젠 인력난에 '골머리'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일주이슈
일주이슈 77-2> '수주절벽' 이겨냈더니 이젠 인력난에 '골머리'
■ 조선산업 인력난 원인과 해법 ||2027년까지 인력 13만5000명 필요 ||저출산에 생산인력 감소가 주원인 ||지역특색 고려 인력수급 방안 필요
  • 입력 : 2022. 11.06(일) 17:54
  • 홍성장 기자
영암 대불산단 내 '마린텍' 사업장 노동자들이 선박의 '헤치커버' 용접 부분의 수평을 다듬고 있다. 마린텍은 현대삼호중공업 등 조선소에 선박 '해치커버' 등을 만들어 납품하는 협력업체다. 김양배 기자·그래픽=최홍은
조선업계가 인력난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최근 고부가 액화천연가스(LNG)선 등 수주량이 크게 늘었지만 물량을 쳐낼 일손은 턱없이 부족하다. '수주절벽'으로 수년간 한숨을 내쉬던 조선업계가 이젠 인력난에 한숨 짓는 형국인 셈이다. 무엇보다 국내 전체 조선업 인력 수요는 국내 건조량 증가와 연동해 계속 늘어날 전망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할 사람 필요한데…

한국조선해양 플랜트협회가 최근 내놓은 '조선해양산업 인력지원방안 연구' 결과를 보면 앞으로 5년간 국내 건조량을 고려할 때 2027년 조선해양산업에 필요한 인력은 지난해보다 4만3000명이 추가된 13만5000명 수준이다.

현대삼호중공업과 대한조선이 있는 전남 서남권도 상황이 비슷하다. 전남 조선업의 인력난 해소를 위해 올 초 문을 연 전남조선해양전문인력양성센터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의 경우 2025년까지 필요한 인력은 모두 5515명이다. 대한조선은 1212명, 대불산단은 2151명의 인력이 필요로 하는 등 2025년까지 전남 서남권 조선업 필요인력은 8863명이다.

하지만 조선 인력 수급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인력수급 불균형의 요인을 한가지로 설명하기에는 어렵지만 가장 큰 이유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그리고 생산가능인구의 지속적 감소라는 '한국 사회의 환경 변화가' 구조적인 제약 조건으로 꼽히고 있다.

전남의 경우 그 정도가 더 심하다. 전남의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 117만명에서 2030년 100만명, 2050년 66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50년에는 2020년 대비 43.6% 감소다.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2020년 41만명에서 2050년 75만명으로 고령인구 수가 생산가능인구 수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남의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은 2020년 65.4%에서 2040년에는 49.1%로 50% 이하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전남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전남의 인구나 생산인구가 감소하더라도 외부에서 인력을 충원할 수 있는 인구 유입 가능성이 있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 전체가 2020년 이후 인구감소가 시작되면서 15~64세 생산가능인구의 절대 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때문에 국내 다른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의 이전을 통해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현재와 같은 상황이 지속된다면 다른 지역에서 전남 서남권으로 청년 노동력 유입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의미다.

조선산업에 대한 부정적 시각도 인력난의 한 이유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제조업 평균임금 대비 조선업 임금 수준이 1.5배까지 높았지만 2020년에는 제조업 평균과 차이가 상당 부분 줄었다. 이 탓에 높은 노동강도에 비해 충분한 보상이 없다는 인식이 팽배해져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 조선산업은 건설업과 함께 대표적으로 중대 재해 발생위험이 큰 산업이다.

조선업 인력난의 이유는 이처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지역 특성 고려한 대책을…

해법은 없을까.

우선 인력확보를 위한 조선업 고용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다. 기존 고용 관행을 넘나드는 한국 조선업의 '경로 쇄신형' 고용 전략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국내 생산가능인구가 절대적으로 줄어드는 현재 국내 조선업뿐 아니라 제조업 전반의 유지를 위해 기존 국내 노동시장의 내국인 중심의 고용 전략 자체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선업을 외국인 기능직 고용만으로 유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내국인 고용과 외국인 고용 병행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조선업과 같이 수도권 이남, 남해안을 중심으로 발전한 제조업은 수도권과는 다른 별도의 지역 고용정책과 이와 연동한 업종의 경쟁력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선업 근무환경 개선을 통한 이미지 개선도 해법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젊은 노동자를 조선소로 유인하기 위한 조선업의 이미지 개선이다. 적절한 임금 인상은 물론 쾌적한 근무환경 조성, 사업장 내 편의시설 개선 등의 노력이다. 조선업이 장기적으로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설비투자와 연구개발도 필요하겠지만, 당장 현장 기능직 인력에 대한 투자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인력을 단기간 빠르게 늘릴 '특효안'으로 외국인 인력 확보를 위한 제도개선 등의 요구도 상당하다.

정부도 심각한 조선업 인력난 해결을 위해 대책 마련에 분주하기는 하다. 정부는 조선업계에 닥친 인력난에 숨통을 터주기 위해 제조업종의 특별연장근로 연간 활용가능 기간을 한시적으로 최대 180일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E-9(단순노무) 외국인력의 E-7(숙련기능) 자격변경 때 조선업 별도 쿼터를 신설해 외국인력의 조선업 유입을 촉진하기로 했다.

홍성장 기자 seongjang.hong@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