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홍률 목포시장이 ‘목포형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방안을 지난 16일 발표했다. 목포시 제공 |
18일 목포시에 따르면 박홍률 시장이 지난 16일 시청에서 목포형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과 관련해 목포시 시내버스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시내버스로 불편과 혼란을 겪으면서도 시정에 꾸준한 관심과 성원을 보내준 시민들에게 감사를 전한다”며 “버스회사와 수차례 논의해 버스 정상운행에 원칙적으로 합의함에 따라 7월1일 이후 시내버스가 정상운행 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목포시내버스 운영회사인 태원·유진운수가 만성 적자를 이유로 오는 6월말까지 시내버스를 운행하고 7월 이후 사업포기를 공식 선언한데 따른 것.
목포시는 이에 따른 후속 대책으로 시내버스 안정화 방안과 함께 근본적인 혁신 방안도 발표했다.
목포형 대중교통 시스템은 △정책 추진의 법적 권리 확보를 위한 버스회사 소유의 노선권 공영화 △운행 효율성을 높이는 노선체계 개편 △경쟁과 균형이 있는 운영체계 확립 △도시·교통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인프라 체계 구축 등이다.
박 시장은 “목포형 대중교통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노선권 공영화가 필수이며 시내버스의 공공성·안정성·시급성을 감안하면 사업의 양도·양수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시, 시의회, 버스회사가 감정평가 법인을 선정해 7월 말까지 노선권 평가를 완료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이후에는 차량 및 CNG 충전소 등 시내버스 운영에 필요한 유형자산 평가를 진행해 순차적으로 시내버스 공영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목포시는 목포형 대중교통 시스템이 시 전체 정책 중에서도 중요도가 매우 높은 만큼 시민 참여를 기반으로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시는 7월부터 시민 공론화를 진행해 노선권 공영화, 노선체계 개편, 운영체계 확립 등 3개 주요 안건을 논의한다.
시민 공론화는 목포시 공론화 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례에 따라 공론화 위원(20명), 시민 참여단(50명)을 공개 모집해 구성·운영되며 공론화와 함께 대중교통 정책 브리핑을 추가 준비해 소통에힘쓸 계획이다.
목포시는 지난 5월 7차례 주민설명회를 진행했다. 주민설명회 결과를 반영해 주 이용자인 학생 및 노약자 의견 청취를 위해 관련 기관에 협조 공문을 발송했고, 시 홈페이지 및 모바일 창구 개설, 동 행정복지센터 활용 등 홍보방안을 다양화해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목포=정기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