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일보]서정원·환경칼럼>수해예방 민·관·산·학 지혜 모아야 할 때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발언대
[전남일보]서정원·환경칼럼>수해예방 민·관·산·학 지혜 모아야 할 때
서정원 영산강유역환경청 하천계획과장
  • 입력 : 2023. 07.10(월) 09:52
서정원 영산강유역환경청 하천계획과장
지난 2020년 8월7~8일 섬진강 유역에 평균 200~500년 빈도 이상의 집중호우가 쏟아졌다. 하천 수위가 계획 홍수위를 넘어 일부 제방이 월류되거나 유실돼 농경지, 주택, 건물 등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섬진강 유역은 다른 유역과 달리 급한 경사와 좁은 하폭을 갖춘 산지하천 구간과 완만한 경사, 넓은 하폭을 갖는 평지하천 구간이 불규칙적인 형태로 반복돼고 있다. 100년 빈도로 계획된 섬진강 하도에 유역 평균 200년 빈도, 크게는 500년 빈도 이상의 강우가 발생해 하도의 유하능력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항구적인 수해예방 및 섬진강 치수안정성 강화를 위해 영산강유역환경청은 하천정비사업을 통해 지난 5월4일 구례군 옛 문척교를 철거했다.

환경청은 당초 구례읍과 문척면을 잇는 군도로 활용되던 옛 문척교를 철거하고 양쪽 제방을 보강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실제로 옛 문척교 철거까지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당시 옛 문척교철거반대범군민행동연대는 “지난 2020년 수해 원인은 옛 문척교가 아니라 댐 대량 방류로 인한 참사였다. 주민동의가 없는 일방적인 철거 결정은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환경청은 언급한 교량 존치시 문제점을 설명하고 철거 불가피성을 설득했다.

향후 홍수발생 시 부유물 등으로 계획홍수위보다 낮게 설치돼 있는 옛 문척교가 유수흐름을 방해하는 보 형태로 변화돼 홍수위 상승으로 침수피해가 우려된다. 홍수위 상승에 따른 상류측 제방보축 높이 상향조정으로 주변 가옥 및 편입토지가 증가하게 된다.

기후변화 등에 따라 서울지역 역대급 집중호우(지난해 8월 강남역 일대 침수 등)로 인한 침수피해 발생 사례 등을 고려해 항구적인 피해 재발 방지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향후 홍수피해 재발 시 피해보상이 어려워 주민의 재산상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과 재해예방을 위해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얘기했으며 마침내 철거를 합의했다.

옛 문척교 철거 계기가 된 2020년 8월 섬진강 대홍수와 지난해 8월 서울 강남일대 침수, 포항 냉천일대 침수는 많은 점을 시사해준다.

홍수를 계기로 기후변화를 넘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홍수에 대비한 수해예방 전략수립 등 노력이 필요하다.

수해예방을 위해서는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 전국 하천에 대한 홍수취약지구를 지정, 홍보하며 대규모 강우 예상 시 신속한 대처·대피를 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홍수방어 인프라 확충에 필요한 예산확보 및 투자도 중요하며 하천정비사업 체계화 등 역시 시급하다.

첫 술에 배부르지는 않겠지만 산적한 문제들을 풀어내며 기후변화에 대비한 수해예방대책에 나서야 한다. 민·관·산·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