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 |
국민의힘 구자근 국회의원(경북 구미시갑,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 한전을 비롯한 발전 5사 경영진을 두고 “재정건전성 확보 노력 없이 전기요금 인상만 기다리고 있다”며 강도높게 비판했다.
한전과 발전5사는 지난 2022년 7월,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되어 자산매각, 사업조정 등 향후 5년간의 재무구조 개선 방안을 담은 ‘재정 건전화 계획’을 제출하며 국민께 뼈를 깎는 자구책 마련과 이행을 약속했다.
하지만 구자근 의원실이 발전5사의 ‘재정건전화 계획 달성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건전화 방안 중 자산 매각 이행률은 평균 6.7%로 나타났다. 달성률이 가장 높은 한국남동발전이 13.3%에 그쳤고, 한국서부발전의 이행률은 0.1%에 불과했다.
반면 발전5사의 사업 조정이나 비용 절감 분야 이행률은 평균 60%를 넘겼다. 발전5사 경영진들이 달성률을 조기에 끌어올리기 위해 직원들 허리띠만 졸라매는 방식으로 접근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수치라는 게 구 의원의 지적이다. 발전5사의 비용 절감 이행실적 총액은 3252억원에 달한다.
이 같은 한전도 마찬가지다. 지난 달 20일 취임한 김동철 한전 사장은 ‘비상 경영 선언 및 혁신위원회’를 발족하면서 언론을 통해 “자산 매각과 인력 감축 등 특단의 추가 대책도 조속히 마련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 의원실이 한전에서 입수한 ‘본부별 업무보고 시 CEO 말씀내용 및 지시사항’ 자료에는 재정 건전화에 관한 언급은 전혀 없이 에너지 신사업 진출이나 해외사업 확대를 지시하는 내용만 포함돼 있었다.
구 의원은 “문 정부 인사로서 작금의 경영 위기를 자초한 발전5사 경영진들이 지난 1년간 자산매각 계획을 평균 6%밖에 달성하지 못한 이유는 무능이나 기만으로밖에 해석할 수 없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원인 제공자인 발전5사 사장과 경영진은 당장 책임을 지고, 한전 사장 역시 전기요금 인상을 운운하기 전에 자구책 이행부터 신경 쓰길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김선욱 기자 seonwook.kim@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