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조사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분석 자료. 전남도 제공 |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통계청은 매년 가계의 소득수준과 그 변화추이를 분석해 가계의 재무 건전성 파악을 목적으로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실시한다. 올해 조사는 전국 2만개 표본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남의 가구소득은 전년(5739만원)보다 354만원(6.2%) 늘어난 6093만원으로 전년과 동일하게 전국 11위를 유지했다.
전국 평균은 6762만원으로 전년보다 5.4% 증가한 가운데 전남 증가율보다 평균보다 0.8%포인트 낮았다.
가구소득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이전소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남의 임금근로자 비중은 전국(76.5%)에서 가장 낮은 ‘60.1%로 가구당 근로소득도 가장 낮았다.
반면 자영업자나 농가 등의 비중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가구당 사업소득은 전국 1위로 나타났다.
이는 전남 자영업자 비중이 전국(20.1%) 평균보다 높은 31.2%에 농가 비중도 전국(4.7%) 평균보다 3배 이상 많은 18.9%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또 전남의 노인인구(65세 이상) 비중은 25.2%(전국 18.0%)로 전국에서 가장 높아 기초연금 수급자 등이 많아 개인의 가계에 소득의 형태로 들어오는 수입을 뜻하는 ’가구당 이전소득‘ 역시 전국 1위로 나타났다.
전남의 가구 자산은 전년(3억3151만원)보다 739만원(2.2%) 늘어난 3억3891만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충남보다 1단계 높은 16위로 순위가 한 단계 상승했다. 전년보다 6.7%(전국 3.4%) 증가한 저축액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최황지 기자 hwangji.choi@j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