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험 공부를 하고 있는 모습. 전남일보 자료사진 |
교육부는 학생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수행평가의 도입 취지를 보다 잘 살리기 위해, 올해 2학기부터 수행평가 운영 방식을 개선한다고 2일 밝혔다.
수행평가는 1999년 암기 위주의 지필평가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과 고차원적 사고 능력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도입됐다. 그러나 최근 수행평가 횟수가 많거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면서 학습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모든 수행평가는 수업시간 내에 이뤄진다는 원칙을 철저히 적용한다.
각 학교는 자체 점검표를 활용해 학습 부담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을 개선하고, 시도 교육청은 매 학기 시작 전 학교의 평가 계획을 면밀히 점검한다. 이를 통해 과도한 준비가 필요한 ‘암기식 수행평가’나 부모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과제형 수행평가’가 운영되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또한 교육부는 수행평가 운영에 대한 현장 안내를 시행할 예정이다.
7~8월 중 시도 교육청별로 학교 관리자와 평가 담당자를 대상으로 수행평가의 도입 취지와 관련 규정, 유의사항 등을 안내한다. 시도 교육청과 협의해 수행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개선 요구를 면밀히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 관련 지침을 개정할 계획이다.
김천홍 교육부 책임교육정책관은 “수행평가는 단순한 시험을 넘어서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는 중요한 교육 과정”이라며 “학교가 수업과 평가의 본래 목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제도 개선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최동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