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7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
한국은행이 24일 발표한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2분기 성장률은 전기 대비 0.6%로 집계됐다. 이는 한은의 기존 전망치(0.5%)보다 0.1%포인트 높은 수치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이 -0.2%를 기록한 데 이어 2분기에는 반등에 성공했지만, 건설·설비투자는 각각 -1.5%로 2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민간 소비는 승용차와 오락문화 지출 증가로 0.5% 늘었고, 건강보험 급여 중심의 정부 소비도 1.2%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 중심으로 4.2% 늘었으며, 수입은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중심으로 3.8% 증가했다.
성장률 기여도는 내수와 순수출이 각각 0.3%포인트였다. 민간·정부 소비는 각각 0.2%포인트씩 성장률을 끌어올린 반면, 건설투자(-0.2%p)와 설비투자(-0.1%p)는 성장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전자·광학기기 중심으로 2.7% 증가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부동산업 회복에 힘입어 0.6% 성장했다.
반면, 건설업은 건물·토목 부진으로 4.4% 감소했고, 전기·가스·수도업(-3.2%)과 농림어업(-1.4%)도 역성장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개선에 따라 1.3%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0.6%)을 웃돌았다.
최동환 기자·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