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 그래도 투표는 해야 한다
  • 페이스북
  • 유튜브
  • 네이버
  • 인스타그램
  • 카카오플러스
검색 입력폼
데스크칼럼
4·15 총선, 그래도 투표는 해야 한다
박성원 정치부장
  • 입력 : 2020. 03.30(월) 17:31
  • 박성원 기자 swpark@jnilbo.com

전 세계를 강타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제21대 국회의원을 뽑는 4·15 총선은 다가오고 있다. 후보자 등록은 모두 마무리됐고, 내달 2일부터는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다.

총선 얘기 전에 정당들의 지난 공천과정에 대해 몇 줄 적고자 한다. 본선거에 앞서 정당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가 공직자 선거 후보자를 추천하는 '공천'이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등 각 정당은 공천 작업을 시작하며 '시스템 공천', '현역 물갈이' 등의 원칙을 앞세워 공정한 후보 선출을 약속했지만 결과는 실망스러웠다. 뚜렷한 기준 없이 진행된 컷오프(공천 배제), 단수공천, 전략공천을 둘러싼 잡음과 후유증이 컸다.

광주·전남의 사정도 마찬가지였다. 전략공천은 실세들의 영입인사 챙기기용으로 전락했다. 경선 뒤 재심수용 여부를 둘러싼 오락가락 결정은 후보자는 물론 선거구민 간 갈등과 대립을 부추겼다. 공천 과정에서 민주당이 보여준 상식 이하의 행태는 높은 지지도를 등에 업고 제멋대로 공천권을 휘둘렀다는 비판을 사기에 충분했다. 누구를 후보로 보내도 당선되는 판국이니 전문성이니 경쟁력이니 지역 정서니 하는 기준은 깡그리 무시됐다.

정당이 어떤 후보를 공천하느냐는 전적으로 당 내부의 일이고, 선거 결과에 따라 공천을 주도한 인사들이 그 책임을 지면 그뿐이다. 그러나 공천 막판에 여야가 보여준 제 편 챙기기, 낙하산 공천 등의 추태는 정치를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을 더욱 싸늘하게 만들었다.

'코로나19' 여파로 대면 선거운동은 제한되고 있지만, 총선 후보들은 페이스북 등 SNS와 유튜브 채널 등을 이용한 홍보에 열을 올리며 표심을 공략하고 있다.

4·15 총선은 '정부지원론'과 '정권심판론',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긍정'과 '부정' 평가 등을 놓고 여야 간에 전선이 형성돼 있다. 민주당은 문재인 정부의 안정적인 국정 수행과 개혁 완수를 위해 다시 한 번 지지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이에 맞선 통합당은 경제 상황 악화 등 지난 3년간의 정권 실정을 심판하자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선거 유불리는 쉽게 판단하기 쉽지 않다. 현 상황을 보면 전염병과 같은 국가적 재난이 일어나면 정부·여당의 지지율이 떨어진다는 예상은 빗나간 듯 보인다. 국민들은 정부의 안정적 대응에 더 점수를 주는 모양새다. 하지만 대규모 감염이 확산되는 등 상황이 악화되면 민심은 언제든 등을 돌릴 수 있다.

민주당과 통합당의 비례용 위성정당 창당과 의원 꿔주기를 놓고도 논란이 일고 있지만, '두 정당 모두 똑같이 꼼수를 썼다'는 점에서 득표율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전국적인 총선 쟁점은 몇 가지 꼽을 수 있지만, 광주·전남의 선거 이슈는 찾아보기 어렵다. 대다수 선거구에서 민주당 후보들의 독주가 예상되면서 싱거운 승부가 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일부 민생당이나 무소속 현역 의원의 생환 여부가 그나마 관심거리다.

민주당의 텃밭에 도전장을 내민 국민의당 돌풍이 지역 선거판을 뜨겁게 달궜던 20대 총선 때와는 완전히 딴판이다. 치열한 경쟁도, 주요 쟁점도, 정책도 실종되면서 지켜보는 재미가 사라진 지역 선거 분위기다.

그래서인지 총선이 보름 앞으로 다가왔지만 주위에서 선거 얘기 듣기가 쉽지 않다. 오히려 정치에 노골적으로 반감을 드러내는 이들이 많다. 살림살이는 어려워지는데, 정치인들은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정쟁만 되풀이하다가 선거철만 되면 표를 달라고 한다는 게 그 이유다. 맞는 얘기다. 정치 혐오는 정치인들 스스로 자초했다. 지난 수 십 년간 진보정당, 보수정당 할 것 없이 몇 번의 정권교체가 있었으나, 여야 역할만 바뀌었을 뿐 정치판의 모습은 그대로다. 특정지역에 기반을 둔 양당제 고착화, 이로 인한 극단적인 대립과 갈등, 정치인들의 자질 부족도 여전하다.

그래도 투표는 해야 한다. 기권과 무관심은 스스로의 주권을 포기하는 것이다. 투표를 포기하면 나의 한표가 사표(死票)가 돼 당선돼선 안 될 사람을 돕는 결과를 낳는다. 어느 후보가 우리의 삶을 더 행복하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선택해야 한다. 유권자 개개인이 정치를 바꿀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내 한 표의 올바른 행사뿐이다.

박성원 기자 swpark@jnilbo.com sungwon.park@jnilbo.com